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을 성인병이라고 부르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생활습관병이라고 합니다. 최근 흡연, 음주, 과도한 나트륨 섭취, 스트레스 등에 쉽게 노출되면서 고혈압 연령대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본 내용에서는 고혈압과 원인, 고혈압과 합병증, 고혈압 저하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셔서 건강을 지켜주세요.
혈압의 이해

© mockupgraphics , 출처 U nsplash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으로 전신의 여러 장기나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혈관 내부에 일정한 압력이 필요합니다.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통하여 전신으로 혈액을 보내는데, 심장이 수축하면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낼 때의 최고혈압을 수축기혈압, 심장이 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최저혈압을 이완기혈압이라고 합니다.
정상 혈압 수치는 수축기 혈압 120 밀리미터 Hg, 이완기 혈압 80 밀리미터 Hg 미만입니다.
고혈압이란?

© vladsargu , 출처 Unsplash
고혈압은 동맥혈관벽에 대한 혈액의 압력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하며 고혈압 수치는 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부터 약물치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고혈압 진단 기준치 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혈압(mmHg) 고혈압 140 이상 또는 90 이상 고혈압 전단계 130~139 또는 80~89주 혈압 120~129
정상 혈압 120 미만 그리고 80 미만 [10분 이상 안정된 후 2회 이상 반복 측정]

© nci , 출처 Unsplash
가방의 고혈압 & 가면 고혈압
혈압은 상황이나 움직임 등에 따라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뀐다고 합니다. 그런데 평소에는 괜찮아서 병원에 가서 혈압을 측정하면 수치가 높게 나오는 사람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를 백의고혈압이라고 합니다.
반면 집에서 측정하면 고혈압 수치인데, 병원에서 진찰 중에 정상 혈압인 경우를 가면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모두 정확한 진단을 방해하므로 혈압이 높은 것이 있으면 24시간 활동 혈압을 측정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혈압이 얼마나 오랜 시간 높은 상태가 지속되느냐에 따라 혈관벽의 손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가면고혈압의 경우 평소 가정이나 직장에 있을 때 지속적으로 혈압이 높게 유지되므로 고혈압 합병증이 생기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혈압의 원인과 유발 요인

© thenewmalcolm , 출처 Un splash
고혈압의 원인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대체로 나이가 들면서 혈관이 딱딱해지고 딱딱해져 혈압이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를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하는데, 노화뿐만 아니라 유전적 요인, 흡연, 나트륨 과다 섭취, 비만,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고혈압을 일으킵니다.
반면 고혈압 환자의 5~10%를 차지하는 2차성 고혈압은 원인이 규명돼 완치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평소 맥박이 빠르거나 손이 떨리거나 식은땀이 나거나 하루 종일 혈압변화가 심한 경우, 유전적인 신장질환이나 갑상선질환 등이 있다면 2차성 고혈압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고혈압 증상

© ravi _ patel , 출처 Unsplash
고혈압의 증상은 거의 무증상으로, 다른 진료나 검진시에 혈압을 측정해 보고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2차성 고혈압의 경우는 원인질환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가벼운 가벼운 느낌의 두통에서 피로감, 뒷목 경직, 특별한 이유가 없는 안구충혈, 현기증, 코피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면 호흡곤란, 가슴통증, 부종, 실신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 합병증

© FotoshopTofs , 출처 Pixab ay
혈관의 압력이 높아지면 혈관 벽이 약해져 중증일 경우 혈관이 찢어지거나 합니다. 또한 고혈압이 발생하면 동맥경화로 심혈관이 좁아져 각종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뇌졸중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장의 혈관이나 조직에도 손상을 주어 신부전이나 단백뇨 등이 유발될 수 있는 것 외에, 망막의 모세 혈관에 출혈을 일으켜 망막의 기능이 상실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심혈관계, 뇌혈관계 합병증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고혈압은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데 수축기 혈압을 20mmHg 줄이면 뇌중풍 3040%, 관상동맥질환 1520%까지 감소한다고 합니다.
고혈압 저하 방법

© juanencalada , 출처 Unsp lash
소금 대신 다른 조미료를 섞지 않고 살짝 찍어 먹는 칼륨의 하루 권장량 3.5g 섭취
국과 김치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생활이 고혈압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트륨 성분이 혈관의 내피세포에 손상을 주고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혈관에 나트륨 성분이 많아지면 삼투압에 의해 혈관 내에 체액이 증가하고 혈액량이 증가하는데, 그렇게 되면 혈관의 내벽을 누르는 압력인 혈압이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samerdaaboul , 출처 Uns plash
반면 칼륨은 나트륨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거스르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가 적어도 칼륨 섭취가 부족하면 혈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트륨은 기준량보다 적게 먹고 칼륨은 충분히 권장하는 것이 고혈압을 낮추는 방법으로 가장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칼륨 함유량 우유 1컵(200~250ml)당 약 300mg 바나나 1개(100g)당 약 250mg 토마토 1개(200g)당 약 400mg 고구마 중간 크기(170g)당 약 700mg 시금치 100g당 약 750m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