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눈의 비침습적 검사ABI-PWV;동맥경화도 검사;

#ABI #PWV #발목상완혈압지수 #맥파속도 #동맥경화 #동맥경화증 #동맥경화도 #비침습적

ABI(ankle-brachial index)와 PWV(pul sew avevelocity)라는 것이 있다.한 번의 검사로 둘 다 측정이 가능한데 이를 통해 동맥경화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긴 동맥경화가 심뇌혈관질환의 큰 위험인자라는 건 입 아프게 말하지 않아도 이제 상식인데.

검사 방법은 일단 누워서 양팔과 발목에 혈압계를 감고 측정하는 방식으로 대략 15분 정도 걸린다.쉽고 안전한 것이 큰 장점이다.

검사를 하면, 보통 2장 정도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1장씩 뜯어 보자.

먼저 사지 혈압과 맥박수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양팔 혈압의 차이, 상하지 혈압의 차이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아래쪽에 동맥 경화도(baPWV;brachial-ankle PWV)에 대해 나와 있다.동맥이 얼마나 딱딱하느냐에 따라 실제 나이와 혈관 나이를 비교할 수도 있다.나이가 들수록 위험인자가 많을수록 증가해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에 ABI치에 대해 나오고 있으며, 이것은 말초 동맥의 협착 정도를 반영하는 수치이다.수치가 0.91.4 사이에 들어 있으면 정상이라고 생각하고 0.9 이하면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뇌혈관 질환 위험도에 대해 % 수치로 표시한다.

2집은 대충 이런 형태이고

앞 장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간략하게 제시했고 저기 빨간색 박스는 심장 기능을 매우 간략하게 평가해 보이는데 검은 점이 오른쪽 아래의 사분면으로 이동할수록 심기능 저하를 의미한다고 한다.

동맥경화도 정도를 통해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life style modification이나 약물치료에 대해 상담하고 진행하자.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