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자율주행 기술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회사들은 자율주행기술 개발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자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자율주행기술을 국가 주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나 ‘인프라 조성’ 같은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약 임시를 투입해서 자율주행차 실험을 위한 가상 도시 ‘K-City’를 조성했습니다. 2018년부터 본격 운영되고 있는 K-City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실험도시로서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차 실험도시인 미국의 ‘M-City’보다 2.7배나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이 밖에도 한국은 머지않은 미래에 다가온 자율주행 시대를 향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 도로교통공단에서는 자율주행기술 개발을 위해 조성된 ‘K-City’와 도로교통공단이 개발한 새로운 교통신호정보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K-City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K-City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중 하나입니다.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K-City는 약 11만평의 규모를 자랑하며 내부적으로는 자동차 전용도로, 도심지, 스쿨존, 교외도로, 자율주차 등 5개의 평가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K-City의 가장 큰 특징은 자율주행차를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에 위치한 M-City의 경우 최고속도가 72km/h에 불과해 고속 주행실험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한편 K-City는 고속주행실험은 물론 나들목(IC), 중앙분리대, 톨게이트, 터널 같은 시설물까지 구현한 덕분에 자율주행차가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K-City는 실제 도로와 유사한 도시 구간을 조성해 다양한 시나리오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쿨존에는 「어린이 보호 구역」이 설치되어 있어 주차장 구간에는 「평행 수직 주차면」과「주차 빌딩 경사면」이 실장되어 있습니다.

통신 환경의 차이도 빠뜨릴 수 없습니다. ‘WAVE 통신’이 모든 M-City와 달리 K-City는 ‘4G(LTE)’와 ‘5G’ 통신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주변 차량 및 인프라와 정보를 주고받는 자율주행차의 특성을 고려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일시적으로 일시적으로나마 K-City의 실험 환경을 더욱 확대할 방침입니다. 이 중, 일시적으로 비나 안개와 같은 다양한 기상 환경을 재현할 수 있는 ‘기상환경 재현 시설’을 조성하는 데 사용될 계획입니다. 이는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환경인지 센서의 성능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덧붙여, 약 ᅡ 加えて 加えて の の에 상당하는 「통신 음영 시스템」도 준비될 예정입니다. 터널이나 지하차도 같은 환경을 재현한 통신음영시스템은 전파차단이나 교란이 GPS나 V2X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교통신호정보

이처럼 정부와 각 부처가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인프라 조성에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도로교통공단은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비한 디지털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운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 도로교통공단은 대구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인근 도로에서 디지털교통신호정보제공시스템 시연회를 개최했습니다. 실시간 교통신호정보 서비스 실증을 통해 도로교통공단이 구축한 신호정보 수집 및 제공시스템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은 본 시연을 통해서 교통혼잡에 의한 정체 발생시 현장 경찰관의 수동제어 상황에서도 자율주행차가 교통정보 신호를 디지털로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운행지원은 물론 일반 운전자의 교통편리성까지 고려한 것입니다.

이러한 도로교통공단의 기술 시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년 전인 2020년 도로교통공단은 대구수성알파시티에서 신호등 정보를 활용해 자율주행차 전방향 주행을 성공시켰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이 자율주행시대에 대비할 만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을 증명한 것입니다.

한편 도로교통공단은 신호 정보가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에 계속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기술로는 자율주행자동차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장착한 “비보호 좌회전 제보”를 들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도로교통공단은 ‘자율주행 관련 법·제도’와 ‘자율주행 허브센터 기능 구축 및 활용방안’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앞으로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된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도로교통공단은 자율주행차가 다닐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 있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자율주행 기술을 갖추고 있어도 도로 상황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임에 틀림없기 때문입니다. 아직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조만간 일반 운전자들도 실시간으로 신호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겁니다.

먼 훗날의 이야기로만 느껴졌던 자율주행은 이제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로교통공단은 이러한 미래가 하루 빨리 우리 곁에 다가오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었을 때, 도로교통공단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운전 면허를 취득하지 않아도 이동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는 것이 아닐까요? 댓글로 여러분들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감사합니다。

#도로교통공단 #도로공사 #koroad #교통시설 #자율주행 #k-city #K-CITY #안전운전 #5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