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만 열면 거짓말이야 이렇게 표현하는 사람이 있어요 식사처럼 습관성 거짓말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거짓말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거짓말이나 거짓말의 경우 서로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타인에게 피해는 물론 자신의 정서적인 부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오늘은 영화의 소재로 자주 활용되는 Ripley syndrom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이란?거짓세계,허구의생각을진실하게믿고그런거짓말을뒷받침할수있는거짓말,행동을끊임없이반복하는것을의미하며,이는반사회적성격장애에해당하는것으로자신은물론사회생활에서만나는타인에게영향을부정적영향을미칩니다.

습관적 거짓말을 하는 경우 중에서도 특히 죄책감, 불안감 등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이 말하는 것, 행동하는 것에 대한 완전한 신뢰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인데 소설의 재능 있는 리플리 씨의 주인공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작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쓴 이 소설의 경우 타인의 삶을 통째로 훔치기 위해 친한 친구를 살해하고 일말의 죄책감 없이 살해당한 재벌 친구의 일상을 살아가며 뻔뻔한 행동을 하는 톰 리플리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1955년에 출간된 범죄소설로 영화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원인 개별 특정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추정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열등감 2) 낮은 자존감 3)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4) 과도한 성취욕 5 ) 애정결핍 6 ) 능력, 학력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풍토 7 ) 무한경쟁과 스트레스 등

자신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욕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했을 경우 상황에 대한 불만족이나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열등감 증폭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사소한 거짓말이 반복되고 점차 자신이 말하고 하는 것이 진실이라고 믿게 되어 자신과 타인에게 피해를 줄 가능성이 점차 높아집니다.
또내가만든허구의상황에대해서타인이긍정적인반응을보일경우그부분이굉장히강화되는특징이있어서스스로틀렸다.나쁜 행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고 해요.

리플리 증후군 증상 학업성취도가 낮고 또래와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며 저울질하고 자신에 대한 불만족, 또래 친구에 대한 열등감을 느낀 A가 자신을 잘 모르는 타인에게 자신을 우등생, 천재 등으로 소개하기 시작하면서 성적표를 허위로 만들거나 합격하지 않은 유명 대학에 합격했다고 믿고 자랑하는 증상이 리플리 증후군에 해당됩니다.

또국내유명대학의신입생이라며과거복을입고도강했던B씨의사정도이에포함된다는의견이많았는데,자신이이루지못한목표,성과를이루고자하는성취욕이굉장히강했던경우라고볼수있습니다.
예시처럼스스로달성할수없는부분,할수없는것에대해서이미달성한것같은착각-거짓을일으키고그렇다고스스로믿고내가원하는내모습을남에게보여주기위해서위험한행동이나범법행위도서슴지않는다는것입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사이버 리플리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면서 온라인상에서 볼 수 있는 타인의 멋진 모습, 원하는 모습 등을 스스로 자기 자신이라고 믿고 착각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타인의 사진이나 프로필 등을 자신의 것으로 사용하는 행위, 또는 타인의 일상을 자신의 것으로 믿고 도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절도나 사기 같은 심각한 범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Love yourself 목표를 달성할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회풍토와 끊임없이 자신과 타인을 비교해야 하는 무한경쟁의 현실은 자신을 거짓이라도 위대하게 만들고 싶고 사랑과 관심을 받고 싶다는 비뚤어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지만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타인과 굳이 비교하지 않아도 나로서 훌륭하다는 인식을 갖기 위해 사랑과 관심을 기울이는 유아교육기 위해 부모자존감을 갖는 것입니다
또성인기에들어간우리도자기자신을사랑하고자신의부족한부분을부끄럽게생각하기보다는완벽하지않아도괜찮다,노력하는부분이굉장하다라는긍정적인메시지를전하려는노력이필요한부분인것같습니다.
신경성 호흡 곤란, 과호흡 증후군이라고 하는 증상에 대해 들어 보신 적이 있습니까? 스트레스가 과도한 상황, 패닉 장애 등을 겪고 있는 분은 갑자기 숨쉬기가 힘들어집니다! 하는 해당 변화에 대해서 좀 더 민감하게 생각하실 것 같아요 젊은 층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고, 저도 20대 후반부터 경험이 있는 부분이라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누군가 내 목을 조르는 느낌, 갑자기 호흡이 거칠어지고 공포감까지 주는 상태, 정상적인 호흡 범위를 벗어나 당혹감을 주고 생명에 위협을 느끼게 하는 과호흡 증세.in.naver.com 욕심 감기라고 표현되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3분의 2는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이런 통계 결과를 보면 끔찍하지 않습니까? 마음이 건강하지 않으면 병에 걸리기 쉬운 것이 사람인데, 몸이 아픈 것처럼 겉으로 드러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안쪽부터 천천히 부패하고 있는 것을 아주 가까운 지인조차 눈치채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더 클 것입니다. 가장 두려운 것은 자신이 우울하다는 사실, 자신이 병에 걸려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우울증… i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