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정맥 약물정리 Class IaNa + 통로block *임상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퀴니딘(quinidine) 프로카인아미드(procainamide): wpw증후군과 소피라이마이드(dysopyramide) Class Ib
- 리도카인(lidocaine):IV형태로만 맥시레틴(mexiletine) 페니토인(phenytoin) Class Ic
- 플리 케나이도우(flecainde)프로 파르페 농(propafenone)Class IIB blocker*PSVT에 효과적. 유일하게, 심근 경색 환자의 sudden cardiac death예방하는 것~ 놀로ー루 Class IIIK+통로 block아미 오다 론(amiodarone):간질성 폐렴의 발생(f/u 3m마다)소타 롤(sotalol)드로 우선 대출(dronedarone)Class IVCa++통로 block베라파밀(verapamil)딜 티아 젬(diltiazem)Class V그 웨어, 노 신(adenosine):PSVT에 사용 디곡싱(digoxin)마그네슘(magnesium sulfate):톨사데팡*class 1은 주로 심실의 근육에 작용하고 심실 가난맥박이나 심실세동 등에 많이 쓴다.약물은 사실 class별로는 문제가 안나오는데 부정맥약에는 저런게 있는 정도밖에 모르는 것 같아
- * 부정맥의 분류 (1) 빈맥성 : 상심이, 심실성 (2) 소맥성 : 동키눈부전증후군, 방실전도장애 (3) 간헐적 : 심방, 심실기외수축 (조기수축, 이탈의 고동)
- * 혈압 저하 / 급성 의식 저하 / 심근허혈성 가슴 통증 / 쇼크 소견 / 급성 호흡 곤란 보이면 부정맥 응급상황 -> DC cardioversion
2. 빈맥성 부정맥 심실 조기 수축(VPC) 흔해 보통 치료 불필요 EKG:QRS 사이즈 확대하여 첫 QRS와 이상 QRS 간 간격 좁혀짐(조기 수축)의 증상이 심하거나, 급성 심천지 위험하거나, 좌심실의 기능을 낳으면 치료(class 2, 3 사용)
*심전도상 VPC 3개 이상용달여보이면 VT로 구급심실빈맥(VT) VPC연줄식.
*torsade de pointes도 VT 중 일종인데 QRS가 주기적으로 높아진 낮아진 악보처럼? 보임 토르사일 때 아미오다론 투여하면 서맥 유발하여 더 심해진다. 이 경우에는 Mg투여하고 서맥, 심한 경우에는 임시 박동류/is oproterenol로 심박수 게재하여야 한다.무맥슨, polymorphic: 제세돈+-아미오다론 or 리도카인 unstable v/s+mono: DC cardioversion ICT 삽입하여 예방심방조기수축(APC) QRS 간격이 짧아지지만 형태는 같아야 한다.증상이 심하면 BB의 심방서맥(AT) APC 연속으로 빠르게 적었다. 동빈맥과 감별 곤란.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SVT) 뾰족한 QRS가 분당 200회 정도로 보인다.1) 바르살바, 미주 신경 자극 2) 아데노신 6 mg→12 mg3) 2) 효과가 없으면 벨라파밀이나 BB4) DC cardio version * 재발 방지에는 전극도 절제술 조기 흥분 증후군(= WPW 증후군) 부전으로 심실의 조기 흥분이 발생하고 PSVT나 VF가 나타날 수 있다.EKG:wideQRS, PRinterval 짧은 델타 파 1)무증상은 경과 관찰 2) 빠른 맥성 부정맥 발생시 BB, CCB, flecainide, 전극도 글씨 절제술(RFCA)3)PSVT는 일반 치료와 같은 4)AF발생 시 procainamide, ibutilide, DCcardioversion(CCB, 리도카인 금기!!)안정 후는 RFCA심방 세동(AF)기저 선의에서 울퉁불퉁, P파가 보이기 어렵게 PR간격 불규칙, NarrowQRS. 증상은 “두근 두근”혈전이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CHADS-VASC2점 이상은 항응고 치료 절대적 대상 와화링, noac(다비토랑,-xaban), 워치 맨 삽입 박동 수 조절을 위한 BB, CCB심방 조동(AFL)심방 세동보다는 전기 토네이도가 적은 EKG최고입니다!!빈혈 → 산소 소모량이 크다나다→허혈과 파린, NOAC 심박수를 낮추기 위해 CCB, BB심실세동(VF)p, QRS, t 구분하지 못하고 기저선을 떨리는 모양. 양심전도의 맛보기
- 브루가다 증후군 : v1-v3 중 어떤 유도 이상으로 S Televation이 2mm 이상, Inverted T 보이는 심전도에 가족력이 있거나 의식 소실, 야간 이상 호흡 등 증상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 DCcardioversion + 에피네프린
- 삽입형 제세동기(ICD)
CHADS-VASC score: 2점 이상은 항응고 치료대상/우:델타웨이브★헷갈리는 것!-Defibrillation:제세동, 약간 뭐랄까… 컴퓨터가 고장나면 지우거나 지우듯이 심장을 지운다.
- IC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의 약자로 삽입형 제세동기. 심장 리듬을 계속 관찰하면서 심실 빈맥이나 심실 세동이 감지되면 전기 충격을 주어 심장이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 DC cardioversion: 심장박동기.기계 동기화시켜 심장 주기에 맞춰 충격을 주는 것. (회귀성 빈맥 치료)
- – CRT: Cardia cresynchronazation therapy의 약자로 심실 재동기화 치료를 말한다. 기존의 영구형 심박계처럼 우심방과 우심실에 조율할 수 있는 전극을 위치시키는데 추가로 coronary sinus를 통해 좌심실 측벽을 조정할 수 있는 전극을 추가로 하나 삽입하는 치료로 심부전이나 LB환자에게 사용
3. 서맥성 부정맥 1도 방실 차단 전도 지연 EKG 상 PR 간격 대간 1간 이상 심하고 인과관계가 뚜렷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시술 2도 방실 차단 몇 개는 가고 몇 개는 안감 → EKG 상 P-QRS 잘 보이고 P만 중간에 보이는 것이 보인다. P-QRSPP-QRS 항 있으면 PR 간격이 앞뒤로 같으면 2형, 몇 개는 안감 → EKG 상 P-QRS 잘 보이고 P-QakR spac1만 중간에 보이는 것이 보인다.(pac) PacR SPP-QR SPP-QR SPP-QR SPP-QR SPP-QR spac)
- 빈맥서맥증후군 : 빈맥성 부정맥 멈추고 서맥이 보인다 * 동방차단 : P-QRS 완전히 일주기 빠짐 (배수) * 심박수 변동부전 : 운동시 심박수 상승 x ICT 삽입
- * 빈맥서맥증후군: 빈맥은 약물이나 전극도 절제술, 서맥은 ICD
Sinuspause(arrest), 동정지.
동방 차단: 배수로 건너뛰기 (위의 동정지는 그냥 마음대로 나가고 싶을 때 나옴)
자세한 케이스에서 ekg를 확인하려면 너구리님 블로그ㄱ[심전도Case] 서맥성 부정맥(Braddyarrhtyhmia) 심전도 정리, SAblock, AVblock: 네이버 블로그(naver.com)
4. 심부전1) 개념 : 대사요구량만큼 혈액을 공급할 수 없는 심장의 수출, 이완기능에 관한 구조적, 기능적 이상상태(진단명x->다양한 질환으로 심부전으로 진행가능)
HFpEFHFrEF특징 나이가 많은 고혈압 여성에게 흔한 수축 기능은 정상(EF>50%), 일반적인 심부전 cardiacoutput감소 관련 질환 constrictivepericarditis고혈압성/비대성/제한성 CMP확장성 심근 병증(DilatedCMP)2)증세:호흡 곤란, 잤을 때 호흡 곤란, 신음/기침으로 잠에서 깨어 부기 등 3)검사:심전도, X선, bnp, 마음 에코 4)치료가 아니다.(1)MBCN…메트 프로 롤, 양 프로 롤, 카베 디 롤, 나비보로ー루)함께 투여 개시!(2)증세가 지속되면 ARB, 알도스테론 길항제 등(3)액체 많으면:이뇨제, 염분 제한(4)심방 세동 동시:지곡싱, 아미오다롱(5)심장 다시 동기화:약물 치료 저항성, EF<35%유지, NYHA1~3면서심전도 wide QRS(6) 심장이식: NYHAclass4, 기대수명 1년 이하의 심한 불응성 심부전
5. 급성 비보상성 심부전1) 개념 : 심부전의 보상작용이 붕괴된 상태(천식 attack과 같이 이것도 그렇다) → 장기생존율보다 증상개선이 우선2) 분류 및 치료 (1) LV filling pressure 증가하면 PCWP가 증가하고 액체저류가 발생한다 -> wet (2) 심박출력이 저하되면 전신혈관저항이 증가하며, cold 냉증이 증가하며, cold 식어짐
3) 급성 폐부종 치료 요약 – 산소, 양압환기 – Preload 감소 : loop 이뇨제, nitrate, 모르핀, ACEi, 잠자리에 앉는 자세 – inotropicaction : 도파민, 디지탈리스(지곡신) 등급성 악화로 BB, CCB는 금기 –
- 디곡신(digitalis) 중독시 증상: anorexia, nause a, vomiting, ekg상 VPC 혈액검사: 전해질 마탱이, BUN/Cr 증가, 혈청 지곡신 치료 수준은 0.5~2이나 보통 2ng 이상으로 나타나는 치료: 대증요법, KCl 투여(저칼륨 monitoring 필요)
- 심부전에 주로 대곡신을 쓰는데 심방세동에도 쓰곤 한다던데..? 적응증은 생겼어. 그런데 찾아보니까 심방세동 환자의 사망률을 올리니까 최근 그렇게 됐네 아무튼 기출에서는 ‘심방세동으로 약을 복용 중이었다’라고만 단서가 나왔으니까 대충 기억하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