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겐입니다.:)

오늘은 백내장, 녹내장의 차이점에 대해서 여러분께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백내장, 녹내장의 정의
- 백내장이란?

눈의 검은 눈과 홍채의 뒷면에는 투명한 안구 조직인 수정체가 존재하여 눈의 주된 굴절 기관으로 작용합니다.
눈에 들어온 빛은 수청제를 통과하면 굴절되어 망막에 상을 맺게 되는데, 백내장은 이러한 수정체가 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고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는 질환입니다.

혼탁 부위에 따라 후극백내장, 후낭하피질혼탁백내장, 피질백내장, 층판백내장, 핵백내장으로 분류된다고 합니다.
녹내장이란?

녹내장은 진행되는 시신경병증으로 시신경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여 해당 시야의 결손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시신경은 눈으로 받은 빛을 뇌로 전달하여 “보는” 신경이므로 이곳의 장애가 생기면 시야에 결손이 생기고 말기에는 시력을 잃을 수 있다고 합니다.

개방각 녹내장은 전방각이 닫히지 않고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한 채 발생하는 녹내장입니다.

폐쇄각 녹내장은 급상승한 후방압력 때문에 홍채가 각막 쪽으로 이동하여 전방각이 폐쇄되어 발생하는 녹내장입니다.

각막의 후면과 홍채의 전면이 성소각을 전방각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누르면 방수가 배출되는 통로가 막히기 때문에 안압이 빠르게 상승한다고 하네요.
2. 백내장, 녹내장 원인
백내장의 원인


선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원인 불명으로 유전성이나 태내 감염(자궁 내 태아에게 발생하는 감염), 대사이상(특히 당뇨)으로 인한 것도 있습니다.




후천성 백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노년 백내장이 가장 일반적이며, 외상이나 전신 질환, 눈 속의 염증, 약물(특히 스테로이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녹내장의 원인

녹내장 발병의 주된 원인은 안압 상승에 의한 시신경의 손상입니다. 시신경 손상이 진행되는 기전으로, 안압 상승에 의해 시신경이 눌려 손상된다는 기전과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생겨 시신경 손상이 진행된다는 2개의 기전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아직질환을유발하는정확한원인은밝혀지지않았고,이를밝혀내기위한연구를계속하고있대요.
안압이란? 눈(안구)의 압력을 말합니다.
안구를 축구공에 비유하면 축구공 안에 공기가 적어도 안 되고, 너무 많아도 안 되는 것처럼 눈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구 내부에 적절한 압력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안압이 너무 낮아 안구 자체가 작아지는 안구 위축이 생길 수 있으며, 너무 높으면 시신경이 손상된다고 하므로 참고하십시오. 안압은 주로 방수(눈 안에서 생성되는 물로 눈의 모양을 유지하고 눈 내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순환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고 합니다.


방수는 홍채의 뒷면 형태와 같은 조직에서 매일 조금씩 생성되며 생성된 양만큼 순환을 통해 눈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가집니다. 방수성이 너무 많이 생성되거나 흐름에 장애가 생겨 배출이 적어지면 눈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을 일으킵니다.




녹내장은 가족력이 있거나 평소 안압이 높은 경우나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이나 근시를 가진 사람에게서 발병률이 높다고 합니다.
3. 백내장, 녹내장 증세
백내장 증상

수정체의 혼탁 위치나 정도, 범위에 따라 여러 가지 시력 감소가 나타납니다 부분적인 혼탁이 있는 경우는 단안복시(한 눈으로 보아도 사물이 둘로 겹쳐 보이는 증상)가 나타날 수 있으며, 수정체핵(수정 프레임의 중심부)의 경화(딱딱함)로 인해 수정체의 굴절률이 증가하면 근시상태가 되므로, 근거리가 이전보다 더 좋아보일 수 있습니다.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안이 와서 잘 보이지 않던 신문이 갑자기 잘 보였더니 눈이 좋아졌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백내장으로 인한 증상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녹내장 증상
녹내장의 증상은 크게 급성, 만성으로 나누어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급성 녹내장은 전체 녹내장의 약 10%를 차지하며, 안압(안압의 정상 범위는 10~21mmHg)이 급상승하고 시력감소, 두통, 구토,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녹내장은 시신경이 서서히 손상되기 때문에 특별한 자각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말기가 되어 시야 장애나 시력 저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4. 백내장, 녹내장 예방방법
백내장 예방법
선천성 백내장은 특별한 예방법 없이 조기진단이 중요합니다.

노인성 백내장은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에 의한 것이지만, 강한 자외선에 의한 보고도 있어, 야외에서의 선글라스 착용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외상으로 인한 외상성 백내장의 경우에는 눈에 외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스테로이드 등 백내장을 유발하는 약을 점안하거나 복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정기 검진을 받도록 하십시오.
녹내장 예방법

녹내장은 특별한 예방보다 조기발견이 중요하므로 만 40세 이상이 되면 매년 녹내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녹내장 중에는 안압이 정상범위(10~21mmHg)에 속하지만, 시신경 손상이 진행되는 정상 안압 녹내장도 있으므로, 안압 이외에도 안저촬영(fundus Photography)으로 인하여 시신경 섬유층의 결손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3. 미겐이의 추천 예방법 : 슈퍼루테인
미겐입니다 🙂 오늘은 내츄럴 플러스 제품 중 슈퍼 루테인에 대해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립니다. 도… blog.naver.com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즐거운 평일 보내세요저는 다음 시간에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