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의 원인, 증상, 치료_백내장 수술을 꼭 해야 하나?

백내장의 원인 및 증상 우리 몸의 수정체는 카메라 렌즈 역할을 하는데, 이 수정체에서 빛이 통과되면 필름 역할을 하는 망막에 상처가 나게 된다.수정체는 이렇게 망막에 상처가 나도록 조절해주는 기관이다.백내장은 이 수정체가 뿌옇고 초점이 맞지 않아 시야도 흐려지고 시력 저하도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보통 백내장과 노안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노안은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초점이 잘 맞지 않는 데 비해 백내장은 가까운 물체는 물론 먼 거리에 있는 물체도 잘 보이지 않아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추가된다.또 노안과 달리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저하는 안경을 아무리 써도 교정되지 않는다.

백내장의 가장 큰 원인은 노화다.수정체가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 단백질이 변성돼 흐릿해지는 것이다.나이가 들면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이 생기듯 눈의 노화로 인해 누구나 백내장이 생길 수 있다.또 다른 백내장의 발병 원인으로는 눈에 충격이 가는 외상이나 스테로이드 안약을 장기간 사용하거나 당뇨병 같은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발병한다.이밖에 자외선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은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보통 물건을 볼 때 눈앞이 뿌옇고 흐릿한 느낌이 든다.시야가 흐릿하게 보이기도 하고 어두운 거리에 가로등 불빛이 펼쳐져 보이기도 한다.

또한 시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는 복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보통은 두 눈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한눈에 보면 복시 현상이 있다.이럴 때 백내장을 의심해 봐야 한다.그리고 오히려 밝은 날에 시력이 더 떨어지는 주안 현상이 있을 수 있는데, 백내장이 가운데에 있을 때 동공이 줄어들어 백내장 부위를 가리게 되어 시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백내장 치료 백내장이라면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고 한다.백내장이 심하지 않은 초기 백내장의 경우는 안약이나 약물요법으로 먼저 치료를 시작해 백내장 속도를 늦추는 치료를 한다.초기 약물치료로 백내장 수술 시기를 늦추는 일을 먼저 하는 것이다.이처럼 백내장 초기에는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시작해 시간을 벌 수 있게 해준다.

그러다 백내장이 많이 진행돼 더 이상 약물치료 효과를 볼 수 없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로 시력저하가 생기고 뿌옇게 보인다면 그때 백내장 수술을 권하게 된다.

백내장도 사람마다 경도가 있어도 심한 정도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그리고 백내장의 경우에는 응급수술을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상당 기간 약물치료를 먼저 하게 된다.

물론 그렇다고 아예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백내장이 빨리 진행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백내장이 방치돼 정도가 심해지면 약물 치료는 할 수 없고 곧바로 백내장 수술을 하기도 한다.매우 심할 경우 수술 자체의 난이도도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백내장으로 인해 녹내장이 생기면 시신경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따라서 백내장이라고 그냥 넘어갈 것이 아니라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적절한 시기를 받아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백내장 예방법 백내장의 가장 큰 요인이 노화인데 우리가 노화를 막을 수는 없다.하지만 노화 이외에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는 장기간 스테로이드 사용과 외상, 자외선 차단 등이 있다.그중에서도 가장 쉬운 것이 자외선 차단이기 때문에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선글라스나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40세 이후에는 1년에 1회, 60세 이후에는 1년에 2회 정도 안과 검진을 받아 백내장 검사를 하고 수정체를 비롯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안구 노화를 막기 위해 당근이나 시금치 같은 녹황색 채소를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눈에 외상을 입거나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복용하거나 또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라면 40세 미만이라 하더라도 백내장 발병 속도가 그렇지 않은 쪽에 비해 빠를 수 있다.그래서 그런 점을 잘 염두에 두고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