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을 키우지 말고 고혈압 전단계 가이드라인

안녕하세요 한국건강관리협의회입니다국내 고혈압 추정환자 1200만 명, 성인 인구의 29%에 해당합니다.

고혈압은 심뇌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원인인 만큼 나이가 어리더라도 고혈압 전 단계 환자라도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됩니다.

고혈압 전단계

혈압범위 수축기(mmHg)

이완기(mmHg) 정상 120미만 그리고 80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139 또는 80-891단계, 고혈압 140-159 또는 90-992단계, 고혈압 160이상 또는 100이상, 고혈압 진단기준 수축기혈압 140mmHg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mmHg이상이 수치보다 훨씬 낮으면 안심하는 분들이 많지만 고혈압 전단계도 정상범위보다 훨씬 더 높은 위험성혈관질환으로 진행됩니다.

관상 동맥 질환,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은 나이를 불문하고 있습니다.

고혈압 전 단계라면 혈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시작해야 합니다.

고혈압의 전단계 가이드라인, 정상체중을 유지하십시오.∙ 1일 6g이하로 염분을 줄이세요.∙ 과일, 야채를 드시고 포화지방산, 지방을 피하세요.∙ 매일 최소 30분 유산소 운동을 하세요.∙ 남성이 1 일 2 잔, 여성이 1 일 1 잔 이하로 절주해 주세요.

  1. 체중감량

체지방이 10% 늘어나면 수축기 혈압은 6밀리미터Hg, 이완기 혈압은 4밀리미터Hg정도 높아집니다. 비만인 사람은 고혈압 위험이 5배 이상 높기 때문에 체중 감량이 필수적인데요. 체중을 10% 줄이면 개인차에 따라 5~20mmHg의 혈압저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식이요법

고혈압 전단계 환자가 4주간 염분을 줄이면 수축기 혈압 16mmHg, 이완기 혈압 9mmHg을 낮출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은 하루 평균 12g 이상의 염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저염 식단을 실천하는 것만으로 상당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혈압 강하에 도움이 되는 칼륨과 칼슘은 과일과 야채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염분 섭취량이 많아지지 않도록 삶거나 절임 없이 섭취합니다. 지방 섭취를 피한다고 혈압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유산소운동

매일 적어도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반복하면 수축기와 이완기의 혈압이 각각 5mmHg 정도 낮아집니다. 운동 전 준비운동과 운동 후 마무리운동을 통해 운동강도는 자신에게 맞는 수준에서 점차 높여갑니다.∙ 40세 이상 남성, 50세 이상 여성·흡연자·과체중, 비만인·만성질환자, 심장질환자·운동 중 가슴통증, 현기증 경험자 같은 사람은 유산소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의사의 진찰 또는 검사가 필요합니다. 운동 중 가슴통증, 현기증, 팔이나 턱에 연결되는 통증, 호흡곤란, 불규칙한 심장박동, 심한 피로를 경험했다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병원을 찾아요.

4) 절주

음주 상태는 일시적으로 혈압을 줄이지만 직후에 만성적인 혈압 상승을 유발합니다 남성에게 허용되는 알코올 섭취량은 하루 28g 이내로 소주 1잔(50cc) 또는 맥주 2잔(350cc)에 해당합니다. 고령자나 여성은 남성의 절반으로 줄이고, 그 이상의 모든 음주는 혈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며 혈압을 측정하기 전까지는 진단되지 않습니다.

생활 속 가이드라인의 실천과 동시에 주기적인 혈압검사를 추천합니다.

본 게시판의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닙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 19 국내 발생 현황 확정자 138,311명 (629명 추가 확인) 21년 5월 27일 0시 현재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20명, 해외 유입 사례는 9명 확인되며 누적 확진자 수는 138,311명 (해외 유입 8,975명)입니다. 의심되는 신고 검사자수는 36,235명, 수도권 임시 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4,463건(확정자 122명), 비수도권 임시 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6,678건(확정자 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7,376건, 신규 확정자는 총 629명입니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606명으로, 총 128,180명(92.68%)이 격리 해제되었으며 현재 8,188명이 격리 중입니다. 위 중증 환자는 154명, 사망자는 3명이며 누적 사망자는 1943명(치명률 1.40%)입니다.구분 총연결 및 양성검사 중 결과 음성확대자격 해제 격리중 사망 5월26일(수) 0시 기준 9,629,458 137,682 127,5748,940121,0699,370,7075.27(목) 0시 기준 9,665,693138,31128,1808,1881,943122,6599,404

새로 확인된 629명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출처-중앙방역대책본부【국내발생확진자 현황(5월27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도 강원 충청북도 전북 전북 경남 제주 216 1827 30 152368 1610 182642,0805,4259,6235,828,6131,9732,4332,6483,0332,0332,0332,0332,3

[해외유입 확정자 현황(5.27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구분 합계(추정)유입국 확인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90612003645 누계 8,975744,31515022,614443273,8035,7234,252(0.83)(0.83)(0.83)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