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습관 고혈압을 위한

고혈압을 위한 생활 습관

고혈압의 생활습관 개선 1약물 요법으로는 △과일과 야채의 증가 △2포화지방의 섭취 제한 △3염의 과잉 섭취 제한(1일 6g 미만) △4금연하고 절주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 적정 체중 유지 △5주~5일 이상 빨리 걷기 △가법에 조깅 △자전거 타기 계단을 오르기 마련이다.

혈압이란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이 혈관을 흐를 때의 압력을 말하며 혈액량 심박출량 및 말초혈관 저항과 같은 요소가 관여한다.

혈압은 수축기혈압(최고혈압)과 확장기혈압(최저혈압)으로 구분되는데 수축기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확장기혈압이란 심장이 확장(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받는 압력을 의미한다.

정상혈압은 120/80mmHg(수축기혈압/확장기혈압)이고 수축기혈압이 140mmHg 확장기혈압이 90mmHg이상일 경우 고혈압이라고 함

고혈압은 증상이 거의 없다

고혈압은 합병증이 없는 한 증상은 거의 없는 뒤통수가 당기거나 어지러운 경우도 있지만 개인마다 증상이 달라 혈압이 아무리 높아도 증상이 없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혈압만 조금만 올라가도 두통 같은 증상을 금방 보이는 사람도 있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여러 장기에 속상이 생기지만 뇌졸중, 뇌허혈, 눈이 망막에는 고혈압성 망막증, 심장에는 좌심실 비대증, 심근경색, 심부전, 신장에는 미세알부민뇨증, 현성단백뇨증, 만성신부전증, 혈관계동에는 죽상동맥경화증, 대동맥질환 말초혈관 등을 일으킬 수 있다.

2차성 고혈압의 경우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하면 되지만 본태성 고혈압에 대해서는 육체적 정신적 안정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