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연기관 자동차 시대에서 전기 자동차 시대로 자연스럽게 옮겨가고 있는 요즘, 파워트레인이 바뀌듯 자율주행 기술도 눈에 띄게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로에 전기차가 많아지고 있습니다만, 자율주행 자동차는 언제쯤 볼 수 있을까요?
자율주행 레벨 3을 실현하는 자동차는 아직 없습니다. 이 분야에서 최고라고 생각되는 테슬라의 기술도 엄밀히 말하면, 아직 레벨 2.5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제네시스에서는 연말에 레벨 3을 실현하는 G90 차량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과연 자동차회사의 자율주행기술과 국내 법규는 어디까지 왔는지, 다른 자동차회사는 언제쯤 출시할지 등을 한번 알아봅시다.
자율주행레벨3
미국자동차공학회(SAE)에서 정의한 바에 따르면 자율주행 기술은 총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미 아시겠지만 헷갈릴 수도 있으니까 그래도 한번 정리를 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단계기술(예) 제어주체책임 LEVEL0 긴급제동 전방추돌 경고운전자 LEVEL 1차거리, 조향보조운전자 + 시스템운전자 LEVEL2 특정조건에서 시스템이 보조주행운전자 LEVEL3 특정조건에서 자율주행 및 위험시운전자 개입시스템 LEVEL4 운전자개입불필요시스템 LEVEL5 운전석불필요시스템
왜 아직도 레벨 2야?

① 현대, 기아
현재 현대·기아자동차에서 가장 진보된 시스템은 고속도로 주행보조 시스템2(HDA2)입니다.
고속도로에서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하고, 내비게이션 정보를 바탕으로 속도를 줄이거나, 높이거나, 차선을 인식하여 핸들을 조향하거나 방향지시등을 켜면 안전할 때 차선을 변경해 줍니다.
하지만 아직 HDA2는 제네시스, K8, 모하비 등 일부 차량에서만 지원되고 나머지 차량은 자동 차로 변경 기능이 빠진 HDA 기능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어쨌든 ‘고속도로’라는 제한된 조건에서 시스템이 운전자를 보조해 주는 레벨 2단계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② 테슬라
테슬라의 자율주행기술은 오토파일럿이 훈련되고 발전하여 FSD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 Full Self Driving (풀 셀프드라이빙)
오토 파일럿과의 차이는 네비게이션을 기반으로 고속도로 진입로를 알고 진입하여 목적지까지 진행 가능하며 조건없이 차선도 변경해 주고 빈 주차 공간에 주차해 주고 멀리서 호출을 부르면 자동차가 움직여서 내 앞에 온다는 점입니다.
문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로 ᅡ 程度 정도를 내야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인데, 이러한 기능만을 가지고 問題 問題 価値 가치가 있는지를 따지면 대답하기 어렵지만 앞으로는 교통신호기나 표지판을 보고 정차 후 출발하거나 시내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확대할 예정이므로 다른 업체의 기술보다는 확실히 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지금 시점에서는 테슬라의 기술도 레벨 3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레벨 2와 레벨 3의 차이

테슬라와 현대, 기아만 예로 들었지, 모든 자동차가 아직 3레벨까지 오르지 못한 이유는 2레벨과의 차이가 하늘과 땅이기 때문입니다.
① 책임 소재
레벨 3이 되면 시스템이 드라이버를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이 주체가 되고 드라이버는 필요할 때 개입하는 만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든 책임도 시스템에 있습니다.
사고가 한번 나면 정말 골치 아픈 것이, 사람이 운전했을 때도 똑같이 일어나는 사고였는지, 아니면 사람이 운전했다면 피할 수 있는 사고였는지를 밝혀야 책임소재를 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운전자의 책임은 가벼워지고 제조사와 보험사 간에는 항상 분쟁이 발생할 것입니다.
② 법규의 완화
기술은 할 수 있지만 국내 법규 문제로 어차피 운행이 안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았지만 그래도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바람에 2020년 7월 이후 레벨 3단계 자동차가 출시되면서 시장에 판.매가 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빗장이 풀린 정도로, 아직도 사고 조사나 보험 처리에 관한 법규는 아직 불충분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③ 기술적인 문제
현재의 레벨 2에서 레벨 3이 되려면 전후방, 각 코너에 설치되는 레이더나 카메라, 라이더등의 장치는 물론, 고가의 센서나 액튜에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비.용이 아주 커집니다.
핵심 부품의 ‘가’격이 평준화되지 않으면 대중적인 차량에 적용되는 것은 먼 훗날의 일입니다.
●최초 레벨 3, 자동차는 제네시스 G90

제네시스에서는 올해 4분기에 출시될 G90 차량에 자율주행 3등급 기술을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고속도로에서 시속 60㎞ 이하로 달릴 때 자율주행(HDP)이 가능하며 그 이상 속도에선 HDA2로 바뀝니다.
자율 주행을 하고 있을 때 운전자는 핸들도 페달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HDA2로 변경되면 다시 주체가 운전자가 되므로 핸들을 계속 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니까 법규만 완화되면 앞으로 시속 60km 이상의 속도로도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확대한다고 합니다.
불행히도 전동화 계획은 없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에서는 발매되지 않습니다만, 국내 최초의 레벨 3의 G90이 어떤 모습일지 기대됩니다.

레벨4 아이오닉 5
참고로 지난 서울모터쇼에서 현대차는 레벨 4단계의 아이오닉5는 이런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줬지만 레벨 3단계인 G90은 이 정도 되지 않을까요?
다른 메이커의 레벨 3의 자동차

혼다의 경우 2021년 3월에 레벨 3가 가능한 신형 레전드 차량을 출시했습니다.세계 최초로 공식 레벨 3대이지만, 100대만 한정적으로 시판되고 있습니다.
벤츠에서도 레벨 3의 자동차 출시에 박차를 가했는데, 드라이브 파일럿 시스템이 독일에서 인증을 받아 올해 S클래스를 시작으로 출시 예정인 EQS 등 전기차에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G90과 마찬가지로 고속도로의 특정 구간에서 60km/h이하 주행 시에만 장착됩니다.
현재 미국에서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만, 통과하면 올해 안에 미국의 도로에서 벤츠 레벨 3을 주행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참고로 벤츠는 자사의 드라이브 파일럿 시스템 운행 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벤츠가 법적 책임을 진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테슬라와는 다르군요)

현대자동차 전기차 플랫폼 E-GMP
오늘은 자율주행 기술이 어디까지 왔고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4분기에 출시될 국내 최초 레벨3 자동차인 G90이 전동화 모델로 등장하자 감격스럽지만 세단은 배터리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전동화 모델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포기하고 새로운 전기차 플랫폼을 적용한 플래그십 전기차를 개발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G90은 이번 풀 체인지를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입니다.앞으로 2025년부터는 모든 신차가 전기차 또는 수소차일 테니까요.
어찌됐든 내연기관 심장을 가진 G90에 얼마나 훌륭한 HDP 두뇌가 탑재될지 기대하는 마음으로 지켜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