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봇 자율주행과 AI 기술을 통한 스마트 로봇 기업으로 성장

안녕하세요 #주식공부로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보세만우입니다.

에브리봇 시가총액 1,094억원 상장주식수 6,095,671 최대주주 정우철(35.96% 보유) PER 20.08배 / EPS 894원 동일업종 PER 9.31배 2021년 코스닥상장 #에브리봇은 #지능형 로봇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2015년 01월 06일 설립하여 2021년 07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에브리봇은 세계 최초로 듀얼 스핀들 밀대 로봇 청소기를 개발했습니다.구동바퀴 없이 걸레 자체의 회전으로 주행과 청소를 동시에 하는 듀얼 액션 구조로 제품 무게의 100%가 걸레에 가세하기 때문에 청소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2022년 상반기 기준 21년 모델인 TS300이 매출 비중 67.60%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ODM에서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VR6000은 2021년 6.0%에서 2022년 2.06%로 다소 하락했습니다.

포인트 1. 침투 가능성이 높은 로봇청소기 시장의 한국 주부들은 가사 중 청소를 가장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마다 비율은 다르지만 매년 청소가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청소 회누는 일주일에 1~2회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습니다.그리고 청소 방법으로는 진공청소기로 청소 후 물걸레를 한다는 응답이 80.2%로 높아졌습니다.또 ‘집 청소를 할 때 가장 귀찮고 귀찮은 일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물걸레(40.6%)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고객 요구에 맞춰 #로봇청소기 시장은 고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로봇청소기 시장은 2021년 120억달러에서 2028년 507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연평균 22.9%씩 고성장하는 거죠.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는 2,500억원~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은 아직 규모가 크지 않지만 2018년 740억원에서 연평균 42%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에브리봇은 2018년~2020년까지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 1위를 기록했습니다.

2016년 39억원에 불과했던 에브리봇의 매출액은 2021년 511억원으로 연평균 67.6% 증가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에브리봇 매출액은 2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1%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에브리봇은 지난 7월 11일 고가 흡입 및 #물걸레 청소기인 Q5 모델을 출시했고, 8월 22일에는 #EDGE 후속 모델인 EDGE2(R350)를 출시했습니다.EDGE2(R350)는 기존 모델 대비 주행 속도를 개선하고 기존 걸레 대신 일회용 청소 천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쓰리스핀(TS300)은 지난해 5월 출시 이후 현재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올해 7~8월 출시된 신규 모델은 연말로 갈수록 에브리봇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에브리봇은 올해 매출액을 587억원으로 2021년 대비 14.8%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포인트 2.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기업으로 성장 가능한 에브리봇은 꾸준한 연구개발 로봇청소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중 센서 시스템, #로보스핀 기술로 기술 고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에브리봇은 현재 보유한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AIoT(사물지능 융합기술) 기술 개발을 통해 스마트홈 서비스 로봇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존재하던 기술연구소와 신뢰성실험연구소 외에 지난해 11월 AI융합기술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에브리봇은 현재 개발이 완료된 자율주행 로봇과 AI Engine 기술 외에 다양한 센싱 기술, VSLM(Visual Simultansous Lcalization and Mapping: 카메라를 이용해 동시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이 가능한 기술), 영상/음성 인식 기능, 빅데이터 분석 기능 등을 개발해 #지능형 서비스로봇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에브리봇은 이를 위해 올 하반기 연구개발직 추가 인력 보강 등 현재 연간 10억원 안팎의 연구개발비를 매출 증대와 함께 추가적으로 더 집행할 계획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외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부분도 고무적입니다.미국 아마존 입점 및 해외 파트너사 신규 발굴을 통해 2020년 39.9억원였던 매출액이 2021년 64.7억원으로 61.8% 상승했습니다.

영업이익이 2년 연속 100억원 이상 달성했고 올해도 109억원이 예상되는 만큼 안정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을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술과 AI를 결합한 다양한 스마트 로봇이 출시되면 앞으로도 좋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재무 제표.

외국인 기관의 순매매 거래량

2022년 09월 08일 기준 차트

오늘도 #성공하세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공원로1길 7AK타워 2층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