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판처럼 뻣뻣해진 어깨.. #오십견 예방운동으로 말끔히 해결 김혜원 기자 | 입력 2022년 2월 24일 17:00 | 수정 2022년 2월 24일 14:16 | 조회수 : 517

어깨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다. 특히 어깨 질환은 50대 환자가 많지만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다빈도 질병 통계를 살펴보면 2020년 50대의 경우 어깨 질환으로 병원 환자 수가 전체 질환 중 3번째로 많았다.어깨 질환의 증상은 다양하지만 통증을 제외한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어깨가 딱딱하고 움직이기 어렵다는 것. 어깨가 뻣뻣해지는 증상의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오십견인 #유착성관절낭염이다. 이 질환은 어깨가 얼어붙은 것처럼 굳어진다고 해서 동결어깨라고 불리기도 한다.오십견은 견관절을 둘러싼 관절막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별한 외상이 없는데도 어깨가 아파 움직임에 제한을 받게 된다. 흔히 50대에 많이 발생해 오십견으로 불리지만 최근 들어 발생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오십견의 주된 증상은 어깨가 뻣뻣해 팔을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이 어렵다는 것이다. 어깨 전반적으로 뻐근한 통증이 발생하며 밤에 특히 심해진다. 또 날씨가 흐릴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수원나누리병원 관절센터 남신우 원장은 유착성 관절낭염(오십견)의 노화로 관절연부 조직이 퇴행하면서 발생한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며 유착성관절낭염은 점차 어깨가 뻣뻣해져 심할 경우 팔을 들 수 없지만 질환 초기의 지속적인 어깨운동으로 어깨 관절이 굳어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조언했다.오십견은 크게 동통기-동결기-해동기로 나뉘는데, 동통기는 통증이 심한 시기이다. 이때 통증 치료와 함께 관절 가동 범위를 늘리고 유지하는 재활운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동결기는 관절운동 제한이 심한 시기다. 만약 팔을 전혀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증상이 심하면 관절가동술이나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관절낭유리술을 시행할 수 있다.오십견 이외에도 회전근개파열이나 충돌증후군 같은 어깨 질환을 치료한 후에도 지속적인 재활운동은 반드시 필요하다. 치료가 잘돼도 재활을 하지 않으면 어깨가 뻣뻣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오십견 예방과 동시에 어깨 치료 후 효과적인 재활을 위한 운동법을 소개한다.오십견 예방과 어깨 재활에 효과적인 운동 1. 팔 밑으로 당겨 원을 그린다

- 의자를 들어 상체를 기울입니다.– 팔에 힘을 빼고 아래로 내려줍니다.– 팔에 힘을 뺀 상태에서 원을 그립니다. (50회 반복) 이때 팔에 힘을 완전히 빼야 합니다.2. 불편한 어깨나 어깨의 팔을 받쳐 든다.

– 불쾌한 어깨 쪽 팔을 반대 손으로 받쳐주듯이 잡아줍니다.– 그 상태에서 받친 손으로 팔을 들어 올립니다. (10초 유지) 이때 아프지 않은 높이만큼 올려줍니다.– 팔을 내릴 때는 받쳐준 손에 힘을 주어 내립니다.이때 어깨 쪽의 불편한 팔에 힘을 빼주세요. (10초 유지/20회 반복)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미디닷컴(https://kormed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