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veritas-a.com/news/photo/201607/60460_44753_47.jpg)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의 메인 포스터
- 스포일러 포함입니다.*매우 주관적입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메인 예고편 : https://tv.naver.com/v/12013705
- 2020년 2월 19일 개봉(2020.02.17 시사회 관람)
태연(j. 정우성)
영희(j. 전도연)
모든 시작은 가방에서
터벅터벅. 발소리가 들린다. 큰 가방이 누군가의 손에 꽉 쥐어진 채 운반되고 있다. 평택의 가오 호텔, 사우나라는 곳을 유추할 수 있는 몇 단어가 스쳐 지나가면 벨이 울린다. 데스크 직원을 찾고 있는 것일까. 그렇게 몇 초. 가방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번에는 불투명한 유리문이 등장했다. 방금 찜질방 비용을 처리한 콩나물이다. 문이 열리고 거침없는 발걸음이 향한 곳은 위아래로 나란히 줄을 서 있는 사물함 앞이다. 47의 숫자를 가진 사물함이 열리고 가방은 그 안에 들어간다. 무엇이든 가방인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들어갈 때의 소리로 유추하지만 상당히 무게가 나가는 물건인 것만은 분명하다.
다음 운영을 위해 정리 중이라는 팻말이 걸린 사우나 안, ‘중만’은 팻말대로 부지런히 물건을 채우고 바닥을 닦으며 번거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돈을 받고 일하는 입장에서 말하면 지극히 당연한 일이지만 다른 파트 근무자들과 비교하면 일부러 고생하는 게 맞다. 큰돈을 벌지는 못하더라도 가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려면 어떻게든 성실하고 끈질기게 버텨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중간 중간에 뉴스가 흐른다. 평택항에서 신원미상의 시신이 발견됐다는 소식, 역시 평택의 한 골목에서 신호를 무시하고 건넌 남자가 교통사고를 당했다는 소식, 도주 중인 40대 남성을 군산에서 검거했다는 소식 등 무서운 소식들이 잇따라 전해지지만 준만은 오로지 자신의 할 일에만 집중할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사물함을 점검할 차례가 왔다. 일, 빈 사물함을 지나 마침내 47번. 주인이 나타나지 않았는지 가방은 그대로였다.
준만(j.배성우)
욕심이 나는데 어떡하지?
애인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그렇게 일주일이 지났다. 전화번호가 바뀐 것 같지는 않은데 연결이 안 돼. 태연은 이 실종 애인 때문에 요즘 죽을 지경이다. 서류상 정리가 필요한 결혼을 한 것도 아니고 그냥 연인끼리 만나고 헤어지는 게 뭐가 그리 문제일까 싶지만 태연에겐 문제가 있었다. 그것도 매우 큰 문제다. 사업을 위해 사채를 쓴 애인 보증을 그가 했기 때문이다. 애인이 사라진 지금, 그 빚은 자연스럽게 보증을 선 태영이 지게 됐고, 마침 타이밍이 좋게도 그 빚을 지운 사채업자 ‘박사장’에게 연락이 왔다. 몇 시까지 어디로 오라는 명령어의 메일. 빚을 갚을 때가 됐다는 뜻이다.
그럼 약속한 것을 받는 시간을 가질까요.”그래서, 시간을 좀 더 주지 않을래?”
수익이 좋은 사업이라고 말했다. 가계에 보탬이 되고 싶었다. 그래서 미란은 큰돈을 들였다. 가진 돈, 가진 돈 다 빼고 좀 더 욕심내지 않았다면 가진 돈만 걸었더라면 지금보다는 나았을까. 그래 사업은 처음부터 만들어진 허상이었다. 미란은 사기를 당했다. 건 돈은 모두 고스란히 빚이 되어 돌아왔다. 남편은 과묵해진 말 대신 술을 마셨다 그리고 그렇게 술을 마시고 돌아오는 날이면 어김없이 미란에게 손을 댔다. 오랫동안 공들여 지은 가정이 무너지는 것은 한순간이었다.
아직 태연과 연인이었던 ‘영희’의 가게, 남편이 집을 비우는 저녁부터 새벽 사이 시간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그곳에서 미란은 ‘진태’를 만났다. 소년의 모습을 다 벗지 못했지만 눈빛이 날카로운 게 너무 마음에 드는 청년이라는 게 그의 첫인상이었다. 그때 진태는 말했다. 사람을 죽이고 한국으로 도망갔다고. 놀라 표정을 굳힌 미란에게 당장 농담이라며 무서워하지 말라고 했지만, 미란은 진태의 그 말이 왠지 농담 같지 않다고 생각했다. 아니 어쩌면 그렇게 믿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사망보험금, 인생을 뒤엎을 마지막 기회가 될 큰 돈. 죽이지 못하고, 죽지 못해 함께 살고 있는 남편이 하필 그 순간에 머릿속을 스친 건 우연이 아니었다.
원래 큰돈을 쥔 놈들은 아무도 믿지 않는다. 믿어서도 안 되고.
진태(j. 정가람), 미란(진현빈)
메기(j. 배진웅), 박사장(현 정만식)
무엇이 소중한지도 알 수 없을 정도로 큰 돈이긴 했다.
극의 막을 올린 돈 가방 뒤에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내는 인물은 아르바이트로 가족의 생계를 이어가는 가장 ‘중만’이지만, 이어 등장하는 인물들과 그들이 처한 상황을 열심히 따라가자 사실상 극에서 일어나는 혹은 이미 일어난 모든 사건들 맨 앞에 선 것은 빚 때문에 가정이 무너진 ‘미란’과 미란의 남편, 그리고 불법체류자 ‘진태’라는 점이 흥미로웠다. 삶이 고달프다는 것 외에는 일면식도 없던 인물이 돈가방에 의해 얽히고설키는 과정도 흥미로웠다. 총 6장에 걸쳐 있지 않던 금가방이 어떻게 생겨났고, 그 금가방이 왜 사우나 사물함에 흘러들게 됐는지에 대한 사전 준비를 시간차를 이용해 조금씩 뿌리는 데 물릴 수밖에 없었다.(최근 본 작품 중에서는 넷플릭스 드라마 ‘위처’와 영화 ‘젠틀맨’이 이런 혹은 비슷한 전개 방식을 취했다.) 흩어져 있던 퍼즐이 맞물리는 그 순간의 스릴을 여러분 느껴보길 바란다.
인간은 희망을 갖기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고 말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속 절박한 인물들에게는 돈가방이 그 희망이었고, 즉 고통이었다. 사실 큰 욕심 없이 손에 쥔 돈을 사용해 빚을 갚았다면 현실은 여전히 밑바닥이라도 더 이상 협박받거나 쫓기지 않고 그저 큰돈을 쥐기 전과 같은 평범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면 영화가 될 수 없고 또 그러기에는 너무 큰 돈이긴 했다. 내가 저 안에 놓여 있을 때 극중 인물과 같은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차마 할 수 없을 정도다.
+ 바람과 강만 있으면 어디든 가지만 두 팔과 다리가 제대로 살아 있다면 무엇이라도 할 수 없을까.+인생사의 ‘세온지마’와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해.
+++ 태용이 형 핸드폰 LG V20으로 뿌듯했다. 핸드폰을 바꾸지 않았다면 커플폰이었을텐데(아니다)
붕어(j. 박지성)
“붕어야, 다들 우리 둘이 닮았다는 거 몰라?” 넌 내 얼굴에서 네 얼굴이 안 보여?”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국내외 언론 반응 및 시사회 관람 리뷰 영화 정보 제목 : 지푸라기…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