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 ESS 화재와 LG화학 배터리 기업 리스크

테슬라는 물론 배터리를 생산하는 기업이며, 새로운 폼팩터를 설계하기도 하는 기술 선도 기업이다.

하지만 배터리 생산을 본업으로 하기보다는 현재는 자동차 생산에 주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부족한 배터리 물량에 대해서는 LG화학, CATL, 파나소닉 등 다른 배터리 전문 업체에서 물량을 받아 전기차, ESS 등을 생산하고 있다. 근데…

최근 LG화학의 주가가 급락한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함께 나오는 이유는 GM사의 전기차 볼트에 탑재된 LG엔솔(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ᅮ 一緒ᄅ 수준으로 리콜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많은 언론이 보도했다.

그런데 테슬라 관련 다른 자료를 찾아보니 LG엔솔의 배터리와 관련해 생각보다 많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20일, 네덜란드에서 폭스바겐의 전기 자동차 ID.3이 충전 직후에 전소되었다.-LG엔솔 배터리 탑재. 화재 원인이 배터리라고 단정할 수 없는 상황

8월 1일에는 폴크스바겐그룹 아우디 e-트론 GT가 충전 중 화재로 전소됐다.-e-트론 GT는 삼성SDI 배터리 또는 LG엔솔 배터리가 탑재되지만 전소된 차량은 LG엔솔 배터리 탑재-배터리가 화재 원인인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LG엔솔 배터리가 장착된 르노 전기차 조에(Zoe), 폴크스바겐 전기차 e-UP도 지난해와 올해 배터리 화재를 우려해 리콜이 실시됐다.

내가 타고 있는 GM 시보레 볼트도 지난해, 올해 그리고 최근 세 차례에 걸쳐 화재 우려에 따른 리콜과 업데이트가 이뤄졌다.

이 리콜은 20192022년 판매된 차량 전체에서 배터리 모듈 교체 결정을 한 달 만에 추가 리콜이 발생한 것으로, 2022년형 신형 볼트 EV 시승회도 연기됐고, 신형 볼트 판매도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본 국내에서는 코나 EV 리콜에 따른 비용도 70%(약)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며,

상황은 이에 그치지 않고 ESS(에너지 저장장치)에서도 일어나고 있었다.

미국 애리조나 주 APS 변전소 ESS에도 LG 엔솔 배터리가 탑재됐지만 폭발사고까지 이어지는 화재가 발생했다.

국내 ESS 및 영국 리버풀 20MW(메가와트) ESS와 미국/호주 가정용 ESS도 리콜하고,

LG엔솔의 배터리가 탑재된 테슬라가 호주에 납품한 대형 ESS에서도 불이 나 나흘간 불에 탔다는 것.

현대 전기자동차 코너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으로 별명이 불이야로 불릴 정도로 화제가 됐지만 전기차 화재사건으로 워낙 맹렬히 타고 있어 그 원인은 규명하기 어렵다.그래서 그동안 LG화학도 그 책임을 명확히 인정하지 않고 버텨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GM시보레 볼트 EV를 계기로 그동안 쌓인 화재나 리콜 원인이 공통적으로 LG화학 배터리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어 향후 재판 등에 매우 불리할 가능성이 높다.

또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배터리의 공통점은 LG화학에서 공급됐지만 형태가 제각각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중대형 파우치, 소형 파우치, 소형 원통형 배터리를 가리지 않고 불이 나고 있는 점이 뭔가 사태가 더 심각해 보인다.

한국 산업을 지탱할 미래산업인 배터리의 대장 LG화학이 이번 일을 계기로 안전한 배터리로 거듭나길 바란다.

*이들 사례는 화재 발생 + LG 공급을 열거한 것으로 LG배터리가 화재 원인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배터리 화재의 특성상 원인 규명이 어려워 장기간 소송이 진행 중이거나 특별히 책임 소재를 가리지도 않고 적당한 비율로 손해배상액을 부담하는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LG 귀책사유가 아닌데 억울하게 휘말렸을 수도 있어요.

*다만 과거 화재사건 이후 어느 정도 해결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화재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규명에 앞서 그 화재사건 중에는 LG의 배터리가 있다는 점이 소비자(자동차회사, ESS회사)의 외면을 받게 되므로 매우 심각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나는 내일 볼트의 리콜(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을 받으러 갑니다. 벌써 세 번째… 아마 충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 같아요미국에서는 이런 일이 있으면 집단소송이 진행된다고 하더군요.현대차는 코나일렉트릭(EV)이 충전으로 최대 258마일(415㎞)까지 달릴 수 있다고 홍보했지만, 화재 위험에 따른 배터리 교체 리콜 후 주행가능 거리는 205마일(약 330㎞)로 줄었다. 이는 허위과장광고에 해당한다.”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코나 아이오닉 EV를 구입한 미국 소비자들이 현대차가 허위과장 광고를 했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24일 미국 현지 로펌 맥퀸 라이트 아레바로는 코나EV(20192021년)와 아이오닉EV(2020년)를 구입한 미국 소비자를 대신해 현대차 현지법인을 상대로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에 허위과장광고 혐의로 소송을 냈다. – 출처 : the guru.202 1/8/24 기사

여러분이좋아하는분야를널리공유하기위해서글을쓰는거예요.댓글이 마음에 드시면 공감과 댓글 그리고 이웃 추가 부탁드립니다저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