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재가 덮인 잿빛 섬들로 변한 통가
2022년 1월 15일(현지 시간) 남태평양 섬나라 통가 인근 해저 화산이 폭발했다. 이번 폭발로 통가 해안과 주택 등이 처참하게 파괴된 모습이 위성사진을 통해 밝혀졌다. 18일(현지 시간) 통가의 수도 누쿠알로파의 위성사진과 지난해 12월 촬영된 위성사진에 비해 도시 전체가 회색 화산재로 뒤덮여 있다. 유엔 위성사진 분석기구인 유엔활동위성프로그램(UNOSAT)이 공개한 위성사진을 보면 통가의 최대 섬 통가탑 등에서 붕괴된 것으로 보이는 건물과 시설을 확인할 수 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퉁가 해저화산의 폭발위력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보다 500배 강력하다고 분석했다. 1월 25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수석과학자 제임스 가빈은 통가 해저화산이 히로시마 핵폭발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역학에너지를 방출했다며 이번 폭발로 방출된 에너지량이 TNT 폭탄 418메가톤이 폭발한 것과 같다고 위력을 비유했다.
또 가빈은 비교를 위해 먼저 크게 폭발한 화산의 위력을 설명했다. 가빈에 따르면 1980년 폭발한 세인트헬렌스 화산은 24메가톤급이었고 역사상 최대 화산폭발로 알려진 1883년 크라카토아 화산은 200메가톤급 폭발이었다. 이에 앞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화산 폭발의 위력이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과 맞먹는다고 밝혔다.
가빈과 연구팀은 2015년부터 화산 폭발로 여장 통가섬과 혼가 하파이섬이 하나로 묶여 형성된 화산지반을 조사해 왔다. 연구팀은 이번 해저화산 폭발로 두 섬 사이에 있던 지반이 가라앉았다고 밝혔다. 한편 통가 주변 해저에서 폭발한 화산 영향으로 최대 40km 상공에서 화산재가 떨어지면서 최대 15m 높이의 쓰나미가 밀려오고 통가와 외부를 잇는 유일한 광섬유 해저 케이블도 끊겨버렸다. 화산구름이 170여개 섬 전체를 뒤덮었고 10만명 이상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천 년에 한 번 관측되는 통가 화산 폭발 규모
국내외 전문가들은 통가 해저 화산의 대규모 분화를 1000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거대 폭발이라고 평가했다. 화산학자 로빈 조지앤드루스 박사와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등이 이런 의견을 내놓았다. 홍 교수는 “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산재가 공기 중 약 20㎞까지 관측되는데, 이 정도의 분출은 1000년에 한 번 지구상에서 관측되는 매우 큰 분출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질학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화산 상태가 불안정한 만큼 앞으로 더 큰 규모의 화산 폭발이 몇 주 또는 몇 달간 지속될 수 있다. 는 분석도 나온다. 환태평양 조산대가 지진 위험지대라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등에 따르면 최근 지진 발생 지역의 공통점은 모두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다. 는 것이다.

불의 고리
이곳에 전 세계 화산의 75%가 집중돼 있고, 전 세계 지진의 80%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미 1월 22일에는 규슈 동쪽 앞바다에서 규모 6.6 지진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북쪽 앞바다에서 규모 6.0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미국 알래스카에서도 규모 6.3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에 앞서 1월 초부터 대만과 일본 혼슈, 페루, 인도네시아 일대 등에서 규모 6.0 안팎의 비교적 강한 지진이 이어졌다.
안전지대가 아닌 한반도
1월 22일 오전 1시 8분경 일본 규슈 동쪽 해상에서 일어난 리히터 규모 6.4의 지진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도 진동이 감지된 것으로 알려졌다.이날 새벽 부산 양산 경남 전남 등의 지역에서는 진동을 느꼈다는 신고가 양산의 한 시민은 오전 1시 13분에 진동이 느껴졌다. 맘카페 등에도 지진 글이 많이 올라왔다고 전했다.
전남도소방본부에는 이날 오전 1시 14분과 1시 16분에 아파트 부근에서 땅이 흔들리는 것을 느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국내 지질전문가들에 따르면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는 아니지만 한반도 주변에는 해저 화산이 폭발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국내에서는 울릉도와 독도 제주도가 활화산으로 분류돼 있는데,
화산활동이 거의 없는 화산체로 알려져 있다. 마지막 분화 시기도 1,000~5,000년 이상 전으로 이렇다 할 활동의 징후도 포착되지 않고 있다. 불의 고리에서 발생한 해저 화산 폭발의 영향도 미미한 수준이다. 한반도는 일본 열도가 대각선 형태로 막혀 쓰나미가 덮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창우 책임연구원은 후지 산은 잘 알려진 활화산이면서도 300년 동안 분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언제든지 분출할 수 있다며 지진이 후지 산과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 가능성은 낮지만 간접적으로 화산 분화를 자극하는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윤수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특임교수는 후지 산 폭발은 일본 전문가들이 모두 위험성에 동의하는 문제여서 도시화 산업화에 큰 피해를 주고 한국에도 경제적 영향을 줄 여지가 있다며 인류가 자연현상을 막을 수는 없지만 사전에 대비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만큼 분화 시나리오 연구 등 선제 대응책에 대해 말했다.
증산도 도전 말:지진이 자주 날 때는 내 세상이 됐다.
http://naver.me/Fxz1zSMp
naver.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