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과 사물 통신, 위치, 속도 데이터 표준, ‘차량 추돌 방지, 위험 구간 알림 등’ 전문가와 국표원 제정…엘리베이터 탑승, 실내 배송 로봇 ‘기준’도 제정

자율주행차를 위한 6개의 레벨 표준이 제정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은 본문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자율차와 로봇 기술은 차세대 스마트화의 핵심 기술 중 하나지만 기술 수준을 구분하고 이를 실용화하는 기준이 되는 표준이 확실치 않아 기술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에는 자율차에 대한 6단계 운전자동화 수준 표준이 국내 최초로 확정됐고 로봇이 실내를 달리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안전기준도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다.이들 표준과 기준을 마련한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자율차 데이터 표준안은 차량과 사물통신(V2X)을 통해 주고받는 위치(위도·경도·고도 등), 속도 등 기본 데이터 형식을 표준화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조합해, 차량 추돌 방지, 위험 구간 통지등의 차량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이다.국표원은 자율차 수준은 그동안 주로 미국자동차공학회(SAE) 표준을 주로 인용해 왔으나 올해 9월 수준 표준이 국제표준(ISO)으로 발간됨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한국 고유의 표준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레벨 표준안은 자율주행을 차량의 운전 자동화 시스템을 기준으로 6단계로 분류해 정의하고 있다. 즉, 레벨 0(운전자동화 없음), 레벨 1(운전자동화), 레벨 2(부분운전자동화), 레벨 3(조건부 운전자동화), 레벨 4(고도운전자동화), 레벨 5(완전운전자동화) 등으로 구분된다.즉, 자율주행차와 차량, 차량과 인프라간에 교환되는 위치, 속도 등 데이터와 자율주행단계를 분류·정의하는 수준의 표준개발을 완료한 것이다. 이에 대해 국표원 기계융합산업표준과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표준안을 토대로 국가표준(KS)을 제정하되 교통인프라 분야의 데이터 표준, 카메라라이더 등 주요 부품 표준, 차량물통신(V2X) 보안표준 등 자율주행을 위한 표준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밝혀 관심을 끌고 있다.이번에 마련된 6개 표준은 서울시, 세종시, 대구시, 경기도 등의 자율차 실증단지에서 실증했으며 앞으로 전국 도로 자율주행에도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표원은 “산업계에 자율차 개발과 관련한 가이드를 제공해 자율차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 성능을 가상 공간에서 시험·평가하는 기술도 개발해 국제표준으로 제안하는 등 표준화를 통해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계획”이라고 밝혔다.한편 이에 앞서 국표원의 주도 아래 국내 로봇 전문가들은 실내용 로봇의 안전기준도 마련해 눈길을 끌었다. 로봇이 실내 주행을 하거나 엘리베이터를 타는 등 건물 내부를 이동하려면 안전하게 사람과 접촉해야 한다. 그래서 ‘속도제어’, ‘위험상황에서의 보호정지’, ‘고저차나 틈새의 극복’, ‘추락이나 전도방지’ 등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번에 로봇 전문가들은 제2회 로봇기술 및 표준국제포럼을 개최해 국가표준을 제정한 것으로 알려졌다.또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국표원 등은 근력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이동형 협동로봇(모바일 머니퓰레이터), 로봇 서비스 등 산업계의 수요가 활발한 분야를 중심으로 표준 개발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애플경제 http://www.apple-economy.com/ 디지털경제지-애플경제 apple-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