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2016년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기록됐다. 인근 부산 울산 창원에서도 진도 5 이상이 감지됐고 진도 6 이상은 가옥이 너무 흔들려 무거운 가구가 움직일 정도로 중진이다.지진 발생 직후 휴대전화 통화와 문자메시지, 그리고 트래픽 증가로 카카오톡 메신저나 일부 포털 사이트에 장애가 발생하는 후유증도 나타났다.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12일 오후 7시 44분경 리히터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한 직후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도 불통돼 이용자들의 문의가 빗발쳤다. 카카오톡은 지진 발생 후 모바일은 물론 컴퓨터 버전도 통신이 두절돼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goo.gl
이와 같이, 자연재해는 과거의 물적 피해와 인명 피해로부터 또 IT기반 시설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정보재해에 의한 피해를 추계하는 것은 보다 어렵고, 예방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이 때문에 지진재해로부터 데이터센터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면진 테이블 시설을 통해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음은 여러 사례에서 증명되고 있다.
면진은 지진진동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통해 진동의 전파를 줄임으로써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으로, 내진은 지진진동으로 인한 지진력에 견디는 것으로 지진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다.”용어풀이” *면진, vibration isolation – 네이버 지식진동 가진원으로부터의 방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파경로 중간에 탄성재 등을 삽입하는 방진대책. *내진, earthquake-proof, aseismicity, 네이버 지식지진에 견디다. 지진에 의해 손상을 받기 어려운 구조물은 내진성이 크다고 한다.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소규모 전산실부터 데이터센터 규모까지 지진의 진동을 줄여나가는 방안을 소개한다.

그림 [1] 그림 [1]은 내진(Strong) 설비에 따른 지진 진동 현상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그 진동을 그대로 받아들여 손상되지 않거나 최소한의 손상이 발생하도록 튼튼하게 구조물을 만드는 것에 예방이 있다.이 기술은 건축물, 구조물, 플랜트 등에 사용된다.

그림 [2] 이와는 달리 그림 [2]과 같은 면진의 경우 지면과 보호대상물 사이의 지진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탄성재를 시설하여 지진을 회피, 방진할 수 있으며 주로 IDC 센터, 특수장비, 주요 설비단위 등에 사용된다.
면진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는 크게 면진테이블, 면진이중바닥, 면진랙 등으로 나뉘며 면진이중바닥과 면진랙의 경우 초기 IDC센터 등 특수장비가 설치되는 시점에 시공이 유리해 기존 운영 중인 IDC센터의 경우에는 면진테이블을 통해 랙단위별 또는 랙배열단위별로 쉽게 시공이 가능하다.

그림 [3]은 장비 단위로 시공할 수 있는 면진 테이블이다. 여러 사이즈로 주문 생산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표준 랙 사이즈에 맞게 선택 가능. 하지만 면진 범위를 넓히거나 랙 고정장치를 통해 좀 더 견고한 시공이 필요할 경우에는 현장 환경에 맞는 맞춤 제작이 가능하다.

사진 [1]위 사진[1]은 하나의 랙에 단독으로 설치된 모습이며, 아래 사진[2]은 여러 대의 랙을 위해 배열 시공된 면진 테이블을 설치한 모습이다.

사진 [2] 랙 수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제품으로 지속적인 시스템 증설에 즉응이 강점이다.

사진[3]사진은 받침대 단위의 면진 테이블 시공 모습이다 실제 시공 후에는 랙의 하중 부담이 면진 테이블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하중에 대한 안정성도 증가할 수 있다.
<관련 법령 소개> ○지진·화산재해 대책법 제3조(국가와 재해관리 책임기관의 책무) 1. 지진·화산재해의 예방 및 대비가. 지진·화산재해 경감대책 강구 및 소관시설에 대한 비상대처계획 수립·시행 2. 내진대책 마. 공공시설과 저층건물 등의 내진대책 강구 제17조 (지역재해안전대책본부와 종합상황실 내진대책)
아래 사진은 최근 실제 면진테이블 시공한 사진으로 간편하게 시공 절차를 따른 모습을 볼 수 있다.

- 운영중인 시스템을 다운타임 없이 안전하게 땅에서 띄우는 작업. – 랙 내 시스템에 충격이나 진동이 없도록 주의 깊은 작업경험이 중요!

- 랙 하부에 면진테이블을 삽입하여 배열을 맞추고 수평을 맞춘다. – 랙에 장착된 고정장치를 1차 고정하고, 2차 면진테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랙 고정장치를 시공함으로써 큰 진동에도 일체감을 갖고 고정되도록 시공한다.

- 시공을 완료한 사진. – 사진의 진정한 중앙에 보이는 랙 면진장치의 고정핀을 뽑고 즉시 면진기능은 시작된다.- 사람의 팔 힘으로도 충분히 랙을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볼 베어링 기술은 부드럽고 진동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 시공 완료 모습!
- 종료하면서…면진 테이블 시공 기술은 어쩌면 단순하고 기술력보다 노동력에 더 취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데이터 센터 운영 환경과 기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시공하는 경우 시스템 Down-time에서 시공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충격으로 인해 서버 및 Storage의 데이터 유실,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특히 면진 테이블을 시공할 때는 랙 하부를 지나는 각종 전원과 Network Cable의 경로나 여유 길이 등 충분한 사전 환경을 면밀히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및 전산 시스템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기업이 보다 나은 시공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참고문> 경주지진 (2016) –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엔타이어 세이프시스템 (ESS) – 면진 테이블메이커 표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