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만 잘 나오면 되나요? KBS 주말드라마 신사와 딸

들어가면 최소 시청률 30%를 보장하는 KBS 주말드라마. 최근에 배우 지현우 이세희 주연의 신사와 딸이 방영되고 있어요. 배우 지현우는 이 드라마로 지난해 말 KBS 연기대상에서 대상까지 받았다. 처음에는 이 배우가 중년에 아이 셋을 둔 아버지 역할을 한다는 게 좀 어색했고 실제 연기 톤이 좀 어색했어요. 근데 계속 보다 보니까 저도 모르게 익숙해져서 계속 보게 되더라고요 어쨌든 이게 중요한 게 아니라 이 드라마 신사와 아가씨가 이제 방영 6회를 남겨놓고 어떻게 결말을 지을지 궁금하면서도 욕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최근 몇 년간 본 드라마 중에 고구마를 선물한 드라마가 없었거든요.

주인공 이용국(지현우)이 산절벽에서 굴러 떨어져 다친 게 거의 4개월 전 얘기예요. 막장 드라마에서 많이 쓰이는 소재가 바로 이 기억상실증입니다. 이왕 억지로 가기로 했다면 기억상실증, 지겨워도 웃어넘길 수 있다. 이거예요. 그런데 이걸 가지고 무려 4개월을 끌고 있다니 이 드라마 신사와 아가씨의 작가와 연출을 비롯해 거의 모든 제작진과 배우들이 시청자를 기만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걸 자꾸 볶아서 울부짖다 보니까 기억상실증이 단기, 부분으로 나뉘고 실로 다양한 기억상실증이 등장합니다. 그 때문에 악녀 역할을 맡은 조사라(박하나 분)의 악행의 개연성은 그야말로 땅으로 숨어 들어가 찾아내기 힘들 정도입니다. 아들 세종의 친아버지가 그녀의 나쁜 행실을 대신해 주고 있는데 이 드라마를 계속 봐야 하나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아직도 이런 구태의연한 낡은 이야기를 온 가족이 시청하는 KBS 주말드라마에서 보게 되다니 놀랍습니다.

이 기억상실증 하나로 몇 달씩 끌고 보는 시청자들은 지칠 대로 지쳐서 그만 좀 해라는 식으로 보는 것 같아요. 제가 일단… 글쎄요 이것으로 많은 등장인물을 통틀어, 이것으로 자극적으로 극을 진행하기 때문에 정작 선량하고 빠진 주변의 등장인물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아요. 심지어 박단단(이세희)의 사촌인 강미림(김이경)과 봉준호(양병열)의 러브스토리는 왜 나오나 싶을 정도로 겉돌고 있는 실정. 박단단의 가족 또는 이용국의 가족은 모이면 이 두 사람의 기억 상실에 관한 대사만 계속 암기할 뿐 이들 가족만의 특징이 드러나는 에피소드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불필요한 등장인물은 줄이고 박단단과 이용국, 그리고 조사라의 삼각관계에만 집중하면 어떨까 싶은데 이것도 질질 끌다가 슬슬 결말을 향해 달려갈 테니까 제가 욕을 해도 되겠죠. 드라마는 기본적으로 해피엔딩일 테니 두 주인공이 극적으로 이어지긴 하지만 개운치는 않을 것 같아요.

사실 이 시점에서 이 드라마의 진짜 주인공은 이용국이나 박단단이 아니라 조사라가 아닐까 싶을 정도였어요. 게다가 배우 박하나는 일일드라마에서 갈고 닦은 비윤리적인 실력을 이 드라마 신사와 아가씨에서 유감없이 발휘합니다. 오히려 조사라에게 당하기만 하는 이용국과 박단단을 욕해요. 어쩔 수 없죠, 배우 지현우와 이세희도 시나리오대로 연기를 할 것이고, 연기를 하면서 답답해도 연출가의 지시대로 캐릭터를 살려야 하니까.

6회 남은 KBS 주말드라마 ‘신사와 딸’ 3월 13일 일요일의 시청률은 38.2%로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청률은 이 드라마가 정말 재미있어서 나온 시청률이 아니라는 걸 보신 분들은 다 아실 거예요. 그 시간대에 보는 드라마는 없지만, 넷플릭스나 기타 OTT 서비스에 돈을 걸면 아까운 사람들은 대부분 이 드라마를 켜는 것이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시중에는 ‘오징어게임’이나 ‘소년심판’ 등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를 보고 개탄하는 소리도 들린다. 왜 지상파에선 이런 드라마를 못 만드냐고. 무분별한 PPL은 기본이고 여러 호흡이 들어가서 산으로 가는 스토리, 이제는 지나치다 온 가족이 모여 보는 주말드라마에도 기억상실증을 주요 소재로 한 막장 표현이 횡행하고 있는데 반성을 한다고 해도 이는 하루아침에 고쳐지는 일이 아닐 것입니다.

억지로 개판 5분 전의 스토리를 단 6회에 교통정리는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도 최대한 다듬고 깎을 건 깎아 유종의 미를 거두길 바라는 KBS 주말드라마 신사와 딸입니다. 정말 오랫동안 KBS 주말드라마 시청을 고수해온 저로서는 이 드라마처럼 처참하고 답답한 전개를 처음 봐서 당황스럽네요. 정말 정말 재밌었던 전작 ‘한번 다녀왔어요’가 생각나네요. 이 드라마 수준까지 끌어올리라는 건 아니에요. 이 정도만 잘 마무리했으면 좋겠어요. 그래도 오랫동안 코로나를 피하면서 촬영을 계속해 온 것은 정말 힘들었을 텐데, 이 노력이 헛되지 않은 결말, 꼭 만들고 시원한 사이다를 저를 비롯한 이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에게 안겨주시기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