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도 결석을 유발한다? 편도 불꽃의 종류와 치료법 [별별 건강 #24] 잦은 편도염이

편도염 환자 중에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는 여름이 더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까?

입원이 필요한 중증급성편도염을 유발하는 항생제내성균, 녹농균, 장구균이 여름철에 증식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여름에는 에어컨 사용으로 온도 변화가 심해서 편도염에 걸릴 수 있는데요.

목감기라고 생각하고 방치하고 적절히 치료를 받지 않으면 합병증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원인과 증상, 예방법을 알아두면 좋아요.

그럼 이제 편도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까요?

편도염이란?

기본적으로 편도염은 편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편도선은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는 통로를 둥글게 감싸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세균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입니다.

편도선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이 편도선염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9세 이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80대 이상에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혹시 저도 편도염?편도염 유형별 증상 파악

편도염은 급성 편도염과 만성 편도염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급성 편도염 양쪽 편도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대체로 청년기나 젊은 성인에게 잘 생기고 추위나 더위를 많이 맞았을 때 감기 이후에 발생합니다.

고열과 오한, 인후통, 두통 전신 위약감,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4~6일 후에는 대체로 호전됩니다.

만성편도염 급성편도염의 증상이 여러 번 반복되고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만성편도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개 반복적으로 목의 통증이 있고 작고 노란 알갱이 모양의 침착물인 편도결석으로 입냄새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편도선 진단 및 검사

편도염은 대부분 전문의의 진찰과 간단한 신체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데요.

특징적인 증상 외에 다양한 소견을 보여주기 때문에 진찰만으로는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방사선 검사, 내시경 검사, 혈액검사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한쪽 편도선이 커져 있거나 치유하기 어려운 궤양 등이 동반된 경우에는 종양을 감별하기 위한 조직검사가 실시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편도선 치료

편도염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악화되면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초기에 충분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부드럽고 자극이 없는 음식을 먹으면서 물을 충분히 마셔 휴식을 취하고 식후에는 양치질과 양치질을 하여 입안을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항생제와 진통소염제를 적절히 복용하여 편도염을 가라앉혀 통증을 줄이고 휴식과 음식량을 점차 늘리는 것도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편도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으로 급성 편도염이 발생하는 경우 ✔ 심장판막 질환이나 열성 경련을 동반하는 경우 ✔ 편도 비대로 치아 부정교합·안면 발달 장애가 있는 경우 ✔ 편도 비대로 코골이·구호흡·수면 무호흡증이 지속되는 경우 ✔ 만성 편도염이 구취·인후통·경부 림프절염을 동반하는 경우 ✔ 항생제에 반응하기 어려운 편도염

영아는 편도선과 아데노이드를 동시에 성인은 편도선만을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며 재발성 편도염을 비롯한 여러 증상에 대해 전문적으로 상담한 후 기본적인 검사를 거쳐 수술 여부를 결정합니다.

대략 2 박 3 일 정도 입원이 필요하며 전신 마취로 실시합니다.

유아의 경우 편도 아데노이드가 5세 전후로 작아지기 때문에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은데, 5-6세 이후로 수술 시기를 잡는 것이 좋습니다.

편도염 예방

편도염 예방법은 일반적인 상기도 감염 예방법과 동일합니다.

? 자주 손 씻기 ? 충분한 수분 공급 ? 구강 위생을 유지한다 ? 과로와 과음하지 않는다 ? 사람이 많은 실내는 자주 환기한다

여름철에도 안심할 수 없는 편도염, 올바른 생활습관과 위생관리로 편도의 건강을 챙기세요!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병원별 편도염 ☎ 진료과 안내 ☎

중앙보훈병원 이비인후과, 호흡기내과, 소아청소년과 02)2225-1234

부산보훈병원 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051) 601-6000

광주보훈병원 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062) 602-6114

대구보훈병원 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053) 630-7000

대전보훈병원 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042) 939-0114

인천보훈병원 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032)363-9800

가까운 보훈병원에서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보세요.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국가유공자와 가족 평생건강의 수호자가 되겠습니다.

본 저작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정보포털(health.kdca.go.kr) 편도염 검색결과 및 보건복지부(mohw.go.kr) 보도자료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