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지의집 공동경제구역 넷플릭스 범죄 스릴러 드라마 원작 안 본 사람에게만 추천

늘어난 6월 24일(금) 개봉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극 범죄 스릴러 드라마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2022)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한국 고유의 이야기는 어디에?

고편이 짙은 샘 마이 바이브로 인해 적지 않은 걱정을 낳았던 <종이의 집:공동경제구역>은 우려와는 달리 조악한 느낌은 (개인적으로) 그렇게까지 심하지 않았는데요.

대신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은 그동안 각종 매체를 통해 ‘원작과 차별화된 한국 고유의 독특한 이야기’라고 선전해온 것과 달리 스페인 원작 드라마의 서사나 플롯, 캐릭터 설정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되 분단국가라는 설정만을 아주 조금 반영한 스토리를 보여줌으로써 리메이크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인질 규모를 원작의 2/3 수준으로 줄인 것을 비롯해 교수(※유지태)가 선우진(※김윤진)에게 접근하는 방식을 조금 바꿔 살바도르 달리마스크 대신 하회 탈을 쓰고 트로이 목마를 원작과 정반대 양상으로 변경한 것만으로는 류영재 작가가 말한 ‘한국 고유의 서사’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원작에서도 등장했던 강도동사의 의견 대립을 좀 더 강한 방법으로 표현한 것이라거나 원작 녹음 폭로가 아닌 생방송을 이용한 서프라이즈를 이용해 경찰에 대한 비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기본적인 맥락 자체는 원작과 궤를 같이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 고유의 서사’라고 말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은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을 활용한 JEA라는 공간적 배경, 그리고 등장인물의 출신이 남북한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제외하면 ‘한국 고유의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부분은 특별히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굳이 한국 고유의 것이라고 할 만한 것을 이야기하자면, 통일화폐 십만원권에는 유관순 열사를 오만원권에는 안중근 의사를 모델로 한 것을 비롯해 도쿄(※정종서)가 자신의 별명으로 도쿄를 정한 이유에 대해 ‘나쁜 짓을 하기 때문’이라고 밝히는 등 일제강점기와 관련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표명하고 있다는 점 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 덴버(※김지훈)가 스포일러 방지들에게 엄격해지는 부분은 원작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물론 세상에는 무수한 취향이 존재하는 만큼 원작을 모두 시청하신 분들 중에도 <종이의 집:공동경제구역>을 즐겁게 시청하신 분들이 많이 계시겠지만 적어도 필자에게는 이미 알고 있는 원작의 이야기를 배우만 바꿔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리메이크의 흔한 우를 범하고 있는 작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던 <종이의 집:공동경제구역>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원작을 전혀 본 적이 없거나 원작을 시청하셨더라도 내용을 깨끗이 잊어버린 분들에게만 추천드리고 싶네요.

오늘은 2022년 6월 넷째 주 개봉을 앞두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신작 영화와 드라마를 정리해 볼까 하고.blog.naver.com 오늘은 6월 24일(금) 개봉을 앞둔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blog.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