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은 비트코인에게도 도전적인 해였다. 최고가 68.3만달러에서 17.6달러까지 고점 대비 -74%가량 하락했다. 비트코인 역사상 이번 하락장의 낙폭은 가장 약한 편이지만 규모는 현재까지 가장 크다. 2011년에는 -93%, 2015와 2018년은 -84%, 그리고 2020년 3월에는 -75%씩 하락해 각 주기마다 하락폭은 줄었다.

두 주요 온체인 지표는 실현가격과 파생상품 MVRV 비율이다.
실현 가격은 각 코인이 온체인으로 마지막으로 거래된 날의 가치인 비트코인 공급의 평균 가격이다.MVRV 비율은 시장가치 Market Value 현물가격과 실현가치 Realised Value 간 비율로 비트코인 시장 사이클과 수익성을 시각화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비트코인의 약세는 평균 180일 동안 실현가격 이하로 가격이 하락했다. 현물가격이 실현가격 이하로 거래되면 MVRV 비율은 1치 이하로 거래된다. 평균적으로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코인을 온체인 비용 기준 이하로 보유하고 있어 실현되지 않은 손실을 내고 있다는 신호다.

투자자의 비트코인 보유 기간에 따라 시장을 분석해 3개 집단으로 mvrv를 계산할 수 있다.
주항색 = MVRV(Market Value Realised Value) 핑크색 = 단기 보유자. 155일 이하를 보유한 투자자다. 통계적으로 변동성에 가장 빠르게 반응한다.청색=장기보유자. 155일 이상 보유한 투자자다. 통계적으로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형광색의 가로선은 MVRV<1.0을 기준으로 한다. 세 선 모두 이 선 아래로 진입하면 시장이 저점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투자자들은 가장 큰 재정적 고통을 받은 구간이기도 하다.
NUPL 시가총액 비율로 표시를 통해 순미실현 손실이 얼마나 큰지를 수량화할 수 있다. 2021년~2022년 주기로 두 가지 주요 요소를 포착할 수 있다.
4월과 11월의 시장 최고점(파란색으로 표시) 매크로 약세 다이버젼스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투자자들은 2021년 8월~11월 랠리 동안 큰 이익을 얻었습니다.비트코인 네트워크 내에서 보유한 미실현 손실은 시가총액의 16% 정도다. 역사적으로 2015년과 2018년의 저점보다는 심각하지 않다.
비트코인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USD 기준 손익 규모는 더 커질 것이다. 2021~2022년 주기 동안 6차례 주요 ‘항복’ 이벤트가 있었다. 이 사건으로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었다.
2021년 5~7월 대규모 광부 이주 기간 동안 가격이 29,000달러까지 하락했다. 이틀 만에 26억5천만달러와 34억6천만달러가 증발했다.2021년 12월과 2022년 1월은 비트코인 최고점 68.3만달러에서 하락하기 시작했다. 두 차례 디레버리지 이벤트가 발생해 각각 21억8천만달러와 25억1천만달러의 순손실을 실현했다.2022년 5월~6월 자녀는 시장 신용이 경색됐다. 루타 사태로 인해 5월 중순 시장이 붕괴되면서 사흘간 -62억1천만달러가 증발했다. 지난 6월 18일에는 비트코인이 1.76만달러 이하로 떨어지면서 하루 순실현 손실액 42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사상 최대 규모다.
참고 자료
https://insights.glassnode.com/gn-cmc-report-1/The 2022 bear market has been exceptionally challening for digital asset investors, with 비트코인 and Ethereum down 75% to 85% from the ATHs. Inthis report, we explore the mechanics and performance of BTC, ETH and the wider digital assetecosystem in 2022.insights.glassnod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