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해서 알아보자!!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안녕하세요 오랜만이에요ㅠㅠ

오늘은 블로그를 보시는 분들께 운동에 관해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알려드리기 위한

운동 상식 시간입니다!!

오늘 알아볼 운동 상식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입니다!

운동하는 분들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내용이겠죠?

우리 몸은 외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을 감지하고 관장하는 ‘신경계’에 둘러싸여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자율신경계’는 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조절된다라는 뜻으로 말 그대로 자율적으로 움직이는데요.

이 자율신경계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며 활성과 억제를 각각 담당하고 신체를 유지합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mtpg0520/221578551661

눈, 침샘, 폐, 심장, 위, 췌장, 간, 신장, 소장, 대장, 방광, 생식기의 13개 기관 및 장기입니다.

심혈관계, 호흡, 소화, 비뇨생식기능, 땀과 체온조절 등 몸의 생명현상과 항상 성유지를 담당합니다.

교감신경이 자동차의 엑설레이터이고 부교감신경은 브레이크에 해당하지만

이 두 신경이 시소와 같이 길항작용하면서 균형을 이루고 몸이 항상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만약어떤원인이든자율신경계의기능이제대로되지않게되면설명드린여러가지신체기능계에이상증상이나타날수있죠?

출처 : https://blog.naver.co m/tic75/100204972710

교감신경은 놀라거나 무서운 상황이 오는 도신체가 위기!에 직면할 때 흥분하지만

체내 각 조직에 저장된 에너지원(포도당과 산소)을 분해해 인체 곳곳에 보내 신체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순환계 기능이 촉진되어 근육이 수축하고 홍채 동공 확대근이 줄어들어 동공이 커집니다.폐와 기관지는 확장되어 숨을 쉬기가 힘들어집니다.

부교감신경은 이완, 억제 효과를 발휘합니다.급박한 스트레스 상황이 끝난 후 활성화시켜 비상이 걸린 몸을 안정시킵니다.뇌간에서 뻗어나온 부교감신경이 오랜 기간에 미주신경과 연계해 기도를 수축시키고 심장박동을 느리게 하며 소화효소를 많이 만들어 소화를 촉진합니다(장의 움직임이 활발해진다).

예를 들어서 추운 겨울날 집에서 밖에 나가면 교감신경이 수축돼서 몸이 비상사태로 바뀌지 않습니까?

외출이 끝나고 다시 따뜻한 집에 돌아오면 교감 신경이 안정화되고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기능과 원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이해가 되셨겠지만

한쪽의 밸런스가 깨지면 그만큼 혈압과 심박수를 정상적으로 맞추고 땀을 흘리는 등 적절한 상황별 대처가 어려워지지만,

먼저 교감신경이 우위일 때 생기는 상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공이 커진 상태에서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들어가 녹내장, 백내장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항상 심장이 빨라지기 때문에 급성 심근 경색의 위험이 커집니다.

교감신경에는 침샘, 이하선, 턱밑선 등에서 점액분비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소화불량이나 변비, 요실금의 위험이 높습니다.남성의 경우 발기가 어렵고, 여성의 경우 질 분비액이 잘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심리적으로도 항상 불안하고 초조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부교감 신경이 우위를 보일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렇게몸에서여러가지문제가생길수있는데요.

그럼 이러한 자율 신경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먼저 원인 질환이 있는지 없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당뇨병이나 파킨슨 증후군의 경우 자율 신경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질환이 없으면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을 지켜야 합니다.

몸이 차갑거나 흥분했을 때는 요가와 족욕, 심호흡 등이 도움이 됩니다.

몸이 차가우면 교감 신경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이완 상태로 해 주는 것입니다.

체온을 올리거나 천천히 호흡을 하고 호흡하는 것보다는 호흡을 길게 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합니다.그리고 식사 때 마그네슘과 비타민 b가 들어간 음식을 먹어도 교감신경 안정화에 도움이 됩니다.

반대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돼 있을 때는 운동 시 땀이 확실히 날 정도로 활동량이 큰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빨리 걷기, 등산, 수영 등 카페인이 들어 있는 음료를 하루에 한두 잔 정도 마시고 몸에 적당한 흥분을 주는 것이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bestpth/221705305901

지금까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았는데요.어떠셨어요?

몸이 참 신기하잖아요.

다음 시간에는 더 유익한 정보를 가지고 오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