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태성 고혈압 2차성 고혈압 심부전 백색 고혈압 가면 고혈압계 hypertension [고혈압] 고혈압 역사유병률 진단기준 원인유발 약물 가정혈압 측정원리

안녕하세요 친약사입니다 : D

고혈압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최근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이 140/90까지 정상 혈압이라고 인지하고 있었습니다.그러나 2017년부터 미국 고혈압 가이드라인에서 130/80까지를 정상 혈압으로 판단하고 이전보다 적극적인 혈압 관리를 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더 낮아진 기준에 따르면 고혈압이라는 진단을 받는 사람이 많아집니다.저를 포함해 바쁘게 지낸다는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은 고혈압이 있어도 거의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나이가 들면서 혈관의 탄력성이 저하되고 수축기 혈압이 상승하여 미각세포의 노화로 짜게 되는 등 고혈압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은 다양합니다.

고혈압은 오랜 시간 방치하면 뇌심혈관계, 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질병이지만 진료를 통해 초기에 질병을 발견하고 생활습관을 건강한 방향으로 전환하여 주치의가 올바른 약을 처방하면 보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국민건강보험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대한민국! 화이팅입니다. ?

혈압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고혈압의 역사 1733년, 영국 과학자 Stephen Hales가 인류 최초로 혈압 측정법을 발표했습니다.(Encyclopedia Britannica) 이후 여러 과학자, 의사, 학회에서 고혈압에 대한 정의를 발표했습니다.

1930년 미국 Mayoclinic 병원에서 근거 중심으로 혈압과 심혈관계 사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이후 미국 고혈압 가이드라인인 JNC Joint National Committe에서 고혈압의 기준을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140/90mmHg으로 정하고, 이뇨제, 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억제제, 칼슘채널 차단제, 알파차단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의 순서로 고혈압 약의 사용 지침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2017년 미국심장병학회, 미국심장협회 ACC/AHA에서 다시 고혈압 기준을 130/80으로 낮춰 화제가 되었습니다.이러한 기준 변화는 2015년 Jeff Williams에서 발표한 SPRINT(Systolic blood pressure intervention trial) 연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수축기 혈압이 130-180mmHg 사이에 있는 50세 이상 중년 이상 9361명의 고위험군 환자(뇌졸중을 제외한 심혈관 질병 기왕력이 있음)를 대상으로 수축기 혈압을 120mmHg 이하로 집중 치료한 환자군과 140mmHg 이하로 관리한 표준 치료 환자군과의 비교에서는 중환자군에서 사망률, 심혈관 사건 발생률이 27%, 적으면서 사망률

간단히 고혈압의 역사를 보면 인류 역사에 비해 고혈압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게 된 기간이 100년 미만으로 그리 길지 않았습니다.미국 고혈압 가이드라인이 강력한 근거가 되어 성인 고혈압 치료에서 심혈관계 질환, 신장 질환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최적의 목표 혈압 옵트 imal target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였습니다.약의 사용과 함께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이 병행된다면 당연히 좋은 치료 결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됩니다.유병률 1998-2016년 기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에서는 검진 당시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 고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를 고혈압으로 정의하였을 때 30세 이상일 때,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 출처: 2018 고혈압 진료지침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혈압이 상승하고 70세 이상에서 여성이 남성의 유병률을 역전하는 경향도 보입니다.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 출처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혈압은 역동학적 수식으로 표현하면 심박수, 심장의 1회 박출량, 말초혈관저항의 적연산입니다.혈압 BP = 심박출량 CO × 말초 혈관 저항 TPR 심박출량 CO = 심박수 HR × 1 회 박출량 SV

BP = blood pressure , CO = cardiac output , TPR = total peripheral resistance , HR = heart rate , SV = stroke volume

나이가 들수록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짐에 비례하여 동맥혈관 벽에 미치는 압력과 관련된 수축기 혈압이 상승하고 심장수축력과 관련된 이완기 혈압은 오히려 감소합니다. (심부전, 심근노화 등)

♣혈압측정원리 커프를 팔에 감아 공기압을 높여 혈관을 막습니다. 서서히 커프의 공기압을 내리고 다시 혈액이 흐르기 시작했을 때 혈액이 혈관벽을 치는 소리(진동)가 들리는 순간의 혈압을 수축기혈압이라고 하며, 혈관벽이 완전히 열려서 혈액이 혈관벽을 치는 소리(진동)가 사라지는 순간의 혈압을 이완기혈압이라고 합니다.

Korotkoff sound 출처_wik im edia 위 그림의 회색실선의 기울기는 커프에서 바람이 빠지는 속도와 관련하여 동맥혈압의 변화를 보여주는 붉은실선과 처음 만나는 곳과 마지막으로 만나는 부분이 수축기혈압, 이완시 혈압입니다.맥박수가 보통 분당 60~80회인데 0.75~1초 간격으로 동맥벽에서 혈액이 부디침을 반복하게 되죠.커프 공기가 서서히 빠져 동맥혈관이 열리는 순간 혈액이 동맥벽을 치면 수축기 혈압이 가장 높게 측정됨으로써 좌심실이 이완되자마자 커프 위치의 동맥혈관이 열리게 되면 수축기 혈압이 가장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이완시 혈압 역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혈압을 두 번 이상 측정하고 평균치를 자신의 기록해야 더 정확한 혈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어느 한 요인을 원인으로 삼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다만 RAAS(renin angiotensin aldosterone system)의 과한진, 자율신경의 조절이상, 혈관평활근조절이상, 미네랄 평형이상 등의 많은 요인 중 원인을 특정하기 어려울 때 본태성고혈압essential hypertension으로 만성신질환, 수면무호흡증젊은 사람이 갑자기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 혈압약을 복용하는데 갑자기 혈압조절이 안된다면 2차성 고혈압을 의심하고 다른 원인을 평가해 보아야 합니다.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들 ① 교감신경작용제 : amphetamine, methylphenidate, phentermine- 다이어트 약과 ADHD 등에 사용되는 각성제는 교감신경 효능작용으로 심박수 증가 말초혈관 수축작용으로 혈압이 상승합니다.② 스테로이드 : dexamet hasone, hydrocortisone, methyl prednisolone, fludrocortisone 등 스테로이드 장기간 사용 시 미네랄 콜티코이드 수용체의 과도한 진격을 유발하고 신장에서 나트륨 저류를 초래하게 됩니다.③ 비폐제거제: pseudoephedrine, phenyle phrine 등 교감신경항진작용으로 혈압의 상승을 나타냅니다. 환절기나 겨울에 혈압조절이 잘 안되면 이 부분을 확인해야 합니다.④ 맥각알칼로이드 : ergotamine(크레민정), methyl sergide, bromocriptine(파르로델정) 등 혈관 수축 작용이 있는 편두통 치료제의 경우 혈압을 높일 수 있으며, bromocriptine은 도파민 효능 제로 작용하여 심근 수축 작용으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⑤ 경구용 피임약 : 에스트로겐 사이에서 angiotensinogen 생성을 촉진합니다.⑥ NSAIDs, 소염진통제 : celecoxib, meloxicam, ibuprofen, naproxen, piroxicam 등의 소염진통제에 의해 COX-2 효소가 억제되면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고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저류가 발생합니다. ⑦ calcineurin closhibitors : cla 특히 신장이식 후 이 약제 투여 시 혈압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⑧ antivascular endotheling rowth factoragents (anti VEGF) : bevacizumab, sorafenib, sunitinib 혈관내피성장인자를 억제하여 항암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혈관내피세포의 성장억제 메커니즘으로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혈관확장인자 NO가 감소되어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⑨ erythropoietin 자극제 : erythropoietin, darbepoetin의 조혈제는 헤마토크리트 상승과 적혈구 질량을 증가시키고 다양한 혈관 확장인자의 변화에 의해 혈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Ann Transl Med. 2017 Sep; 5 (17):349 Drug induced causes of secondaryhypertension, 약물치료학) 혈압관리가 중요한 이유이며 혈압과 심부전은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심부전 진단을 받은 환자의 대부분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어서 발병 기전을 살펴보면 장기간 방치해 온 고혈압이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수축기 혈압이 높은 상황에서 말초 혈관 저항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심장에 대한 부하가 더 무거워집니다.심장의 부하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심근세포 소실, 섬유화 손상을 입어 심장이 비대해지고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되면 좌심방에 혈액량이 증가하여 좌심방압이 상승하고 폐정맥압 상승, 폐울혈이 차례로 나타납니다.폐울혈이 계속되면 우심실, 우심방의 압력이 상승하여 주요 정맥압의 상승, 전신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고혈압을 장기간 방치하면 고혈압이 대동맥판(반월판)에 손상을 주고 동맥혈액이 역류하는 판막증도 발생합니다. 판막증도 심장비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고혈압을 진단하는 복잡한 검사법이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자세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입니다.혈압은 하루 종일 cortisol의 농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합니다.

혈압의 낮의 변화 패턴의 출처_W hat are the best times to check your BP Hello Heart자 사이 가장 낮아 기상시 코티 솔의 농도가 올라가고 혈압도 함께 상승하게 됩니다.이런 이유에서 일반적인 경우 하루에 한번 복용하는 혈압 약은 아침에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일반적인 패턴의 경우 혈압은 오후 12시까지 상승하다가 서서히 감소합니다.

예전에는 병원에서 수은 혈압계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최근 검증 받은 자동 혈압계로 측정합니다.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사람들에게 진료실에서 올바른 혈압 측정은 복용하는 혈압 약의 효과와 복약 순응도를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진료실에 뛰거나 늦고 긴박하고 올 경우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혈압을 측정해야 합니다.가정 혈압 측정을 부추기는 경우 ♣ 진료실의 혈압과 평상시 혈압이 다른 경우의 진료실에서 혈압과 평상시 혈압의 차이가 심한 경우가 있다 최근 가정 혈압 측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진료실 외의 혈압 측정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① 백의 고혈압 white coat hypertension병원에 들어가거나 의사 앞에서 긴장해서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입니다.진료실 혈압은 140/90mmHg이상이나 가정에서는 135/85mmHg미만으로 측정될 경우 ② 가면 고혈압 masked hypertension반대로 병원에서 혈압이 정상이나 평소 혈압이 높은 경우입니다.진료실 혈압은 140/90mmHg미만, 가정 혈압이 135/85mmHg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 진료실 혈압의 변동이 심할 때 ♣ 저항성 고혈압 resistance hypertension, 약물 치료 반응이 잘 나오지 않을 때 가정 혈압 측정 방법 ① 검증된 팔 자동 혈압계를 사용합니다.② 측정 시각 및 방법 ⓐ 왕조:기상 후 1시간 이내, 소변을 받은 뒤 아침 식사 전, 고혈압 약 복용 전 앉은 자세로 적어도 1-2분 안정 후 ⓑ의 저녁:자기 전에 앉은 자세에서 적어도 1-2분 안정 후 ⓒ 이외의 측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③ 측정 빈도:측정 대해 2회 이상 ④ 측정 기간:처음 진단할 때는 적어도 1주일 동안 치료 결과 평가 시에는 가능한 오랜 측정하여 적어도 외래 방문 직전 5-7일 측정

일반적으로 가정 혈압은 진료실 혈압보다 낮아요.가정 혈압으로 고혈압은 135/85 mmHg이상으로 정의합니다. (2018고혈압 진료 지침)

가정혈압측정방법 출처_대한고혈압학회 가정혈압측정교육책자

가정용 혈압계 to be continued…ref. 2018 고혈압 진료지침은 무단 도용 및 업로드 및 재포스팅을 금지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