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인공위성사진, 디지털영상지도 고장(지역사회)모습 혹은 장소조사방법

오늘은 초등학교 3학년 과정에서 공부할 내용을 살펴보자. 바로 ‘땅의 모양(장소)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아이들이 도대체 사회는 무엇을 공부하는 과목인가요?라고 나는 자주 묻는다. 국어 영어 수학 과학은 조금이지만 뭘 공부하는지 대충 알 것 같은데 아무래도 사회는 느끼기 어렵다고 말했다. 아마도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 영역도 다양하고 배우는 내용도 광범위해 아이들이 사회 과목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있는 것 같다. 여러분은 사회과목이 무엇을 공부하는 과목이라고 생각하세요? 여러분도 한번 생각해보길 바란다.

사람들이 모여 살아가는 세상을 뭐라고 부르는지 대답할 수 있을까? 어라, 설마? 하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정답을 맞혔다. 그렇다. 바로 사회다. 우리가 학교에서 공부하는 사회 과목은 사람들이 사는 세상인 사회를 공부하는 학문이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인 사회가 하나의 형태로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가정,학교,지역사회,그리고나라가모두사회에해당한다. 가정과 학교는 학생들이 일상생활 경험을 통해 충분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와 국가를 주로 다룬다. 보통 초등학교 3, 4학년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대해 공부하고 5, 6학년이 되면 범위를 넓혀 국가와 국제사회를 공부하게 된다.

아이들이 공부하는 ‘사회’입니다

오늘은 초등학교 3학년 과정을 공부하기로 했다. 바로 지역사회(지방)의 모습 혹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장소를 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자.

지역사회(지방)의 모습 혹은 장소를 관찰하는 다양한 방법(지역의 모습을 관찰하는 방법은 사진, 인공위성사진, 디지털 영상지도가 있다).

  1. 사진
  2. 사진의 가장 큰 특징은 바라보는 위치와 거리에 따라 같은 장소의 모습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만약 아이들이 싫어한다면 스마트폰을 꺼내 셀카를 찍어보자. 각도에 따라 얼굴 모습이 완전히 다를 것이다ㅋㅋㅋㅋㅋㅋㅋㅋ 얼짱 각도 밑에서 올려서 촬영하는 모습을 보면 확실히 차이를 느낄 것이다. 학교 교과서에서는 소양강 스카이워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양한 장소에서 소양강 스카이워크를 찍은 사진

2. 인공위성 사진

우주에서 찍었기 때문에 위에서 내려다 보이는 것처럼 보여 어느 장소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또 확대와 축소가 가능해 고장을 자세히 관찰할 수도 있고 폭넓게 관찰할 수도 있다.

3. 디지털 영상지도 (인공위성 사진을 이용하여 만든 지도)

디지털비디오맵은 이 텍스트를 클릭해주세요~~ ^^ https://blog.naver.com/lkokvse78/221511510947 초등학교 사회교육과정에는 ‘디지털 영상지도를 이용해 우리가 사는 지역을 알아본다’고… blog.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