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로 주식을 사고파는 시나리오_돈공부는 처음이라

웬만한 돈에 대한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ETC. 이 책 읽은 시간도 투자했으니 그만큼 돌려주는 이야기’ 파트가 흥미로웠다.물론 97%는 따라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설명했다. 돈 공부에는 반드시 시간과 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킵 고잉에서도 나오는 작게 시작해서 경험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절제의 여왕 에피소드 나는 경매를 배우고 있다.아파트 분양권 계약금으로 다 보내고 원금이 없어 계속 고민하고 있다.대출이 되는지 세금이 어떻게 되는지…알아보고 있는 불린이다.내가 금융 지식이 없을 때 넣어둔 적립식 연금보험이 요즘 수익률이 좋다.나는 과감히 연금보험을 해지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남들이 살 때 팔기 어렵구나’라고 스스로 느끼고 있다.노후자산 재배치를 위한 미국 ETF를 알아보고 있으며 일부는 경매에 쓸 시드머니로 쓸까 생각 중이다.생각이 정리되면 공유해보고 싶어.

돈 공부는 처음이라 요약해볼게요~●금의 과거와 미래는 인구구조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 좋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1958년생 개띠), 20대(1978년), 대학이 엄청나게 많이 태어난 30대(1988년), 아파트 부동산 불패 신화 40대(1998년), IMF 50대(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퇴직금으로 장사, 프랜차이즈 60대(2018년) – 은퇴

일본을 보고 대한민국 경제를 공부한다.일본의 베이비붐 세대, 단카이 세대(1948년생) 10년 차이.단카이 세대가 은퇴하면서 엄청난 저성장에 시달린다.일본의 부동산과 주식은 항상 논쟁의 대상.

부동산은 불패신화가 깨졌다.(시세차익을 위한 투자수단이 아닌 임대소득을 위한 투자소득으로 정착, 중심지)

주식의 장기적인 상승 공식이 무너졌다.(일본 주식시장은 3분의 1 수준으로 지난 20년간 하락했다. 그리고 아직 1980년대 후반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닛케이지수 1980년대 후반 38,000포인트였으나 2000년도 8,000포인트, 현재 26,000포인트.

물론 일본은 미국의 방해로 무너졌지만 한국은 아니다 등의 의견도 많다.★그러나 최악의 시나리오에도 대비해야 한다.우리의 인구절벽은 훨씬 가파르다.다시 말하지만 인구구조는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ETC. 이 책 읽은 시간도 투자했으니 그만큼 돌려주는 이야기●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법 3번의 좋은 기회 1. 1998년 IMF 2. 2001년 IT버블 3.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위기가 기회가 되기 위해서는 공부가 아닌 대응 > 시나리오 > 수치화된 기준주식 투자를 한다.(시나리오 수립) 어느 종목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수치화된 기준 수립)

어떤 종목을 살 것인지 기준을 정한다.나는 시가총액이 1,000억 이상인 주식만 산다. 나는 -10% 이상 떨어진 주식을 산다.시장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나는 +% 상승하고 있는 주식을 산다. 등등

선택한 종목을 얼마나 살 것인지 기준을 정한다.내 자산의 10%를 산다.내 자산의 5%를 지금 사고 후 5%를 더 살 거야.내 주식계좌에 들어있는 자금의 10%를 산다 등등

얼마를 살지 정하면 얼마이고 어떻게 살지 기준을 정한다.얼마에 어떻게 팔지 기준을 정한다.

가격이 하락하면 사야지.(대응) 이 정도 하락하면 사야지.(시나리오 구축)

★위기인식지수-코스피지수 1. 최대한 많은 투자물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2.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수치화해야 한다.위의 두 조건을 충족하는 가장 큰 시장의 개념은 코스피지수다.’시장의 위험을 내가 인지할 수 있을까’ 주식과 금융자산은 위기가 감지되면 빠르고 깊게 진행된다.(환금성의 차이)

하락기 주식 → 코스피지수 → 부동산 → 경기침체

상승기 경기 침체 → 주식 → 코스피지수 → 부동산 → 경기호황

★위기가 기회=코스피지수 하락에 따른 기회를 잡자!

1998년 IMF 제외(-75% 하락), 위기 때마다 50% 하락 1. 코스피지수가 얼마나 떨어지면 위기로 인정할 것인가.-50% 이상 마른 순간부터 위기로 인정.

2. 그때 어느 종목을 얼마나 언제 사야하나.- 50% 이상 코스피지수가 하락한 첫날 내가 보유한 전체 자산의 10%를 30개 이상으로 동일하게 나눠 매수.- 60% 이상 코스피지수가 하락한 첫날 내가 보유한 전체 자산의 10~15%를 30개 이상으로 동일하게 나눠 매수.- 70% 이상 코스피지수가 하락한 첫날 내가 보유한 전체 자산의 10~15%를 30개 이상으로 동일하게 나눠 매수.

3. 매수한 종목을 얼마나 언제 팔아야 하나.수익이 30%에서 1차 매도 25%의 비율, 수익이 40%에서 2차 매도 25%의 비율, 수익이 50%에서 3차 매도 25%의 비율, 수익이 60%에서 4차 매도 25%의 비율로 진행될 예정이며, 1차 매도가 진행된 후에 내가 인수한 가격을 이탈하면 모두 매도할 예정이다.

나는 지금 네가 읽은 이 파트를 완성하는 데 수천 시간이 걸렸어.

#돈공부는처음이라 #김종봉 #제갈형열 #다산북스 #시간과과정성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