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자율자동차 관련 주식에 투자했기 때문에 전기차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율주행차의 ‘눈’이라고 하는 라이더와 레이더에 대해 보자!
▲높지만 정밀식별 레이더 vs 모양은 인식하기 어렵지만 악천후가 강한 레이더 테슬라 vs 웨이모, 소풍 등 자율주행차 업계를 따돌린 논란 = 국내 자율주행차 업체들도 집중되는 이미지 센서가 다르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2025년경에는 다섯 번째 사이클이 찾아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자율주행 자동차가 가져올 반도체 혁신이다.자율주행자동차가 보급되면 자동차는 하나의 움직이는 서버에서 작동할 것으로 예측한다.
모든 자동차가 하나의 컴퓨터처럼만 운용되면 거기에 필요한 반도체도 어마어마하잖아요? 5G 통신기술의 발달과 이와 맞물려 이뤄지는 기술혁신이 이 같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래에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시대가 열리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
전기 자동차에 필요한 기술
5g 라이더 카메라 HDA 차간 거리 유지
LDWS 차선이탈경보시스템
LKAS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
BSD후방경보시스템
라이더와 레이더는?
레이더

레이더(RADAR)
친근한 물체를 인식할 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레이더가 그런 일을 한다.
무선 탐지와 거리 측정의 준말이 레이더다.
레이더는 반사되는 전파를 발사하여 반사되는 값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유무, 거리를 알 수 있다.
전파로 하므로 어두운 장소나 악천후에도 사용 가능하지만,
레이더 하나만으로는 자율주행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통제할 수 없다.
라이다

차량 맨 위에 순찰차와 엠블런스 사이렌처럼 달려 360도 돈다.

라이더(LiDAR)
라이더는 레이더 전파보다 직진성이 강하고 파장이 길어 고출력 레이저(빛)를 사용한다.
직진성이 강한 만큼 오차가 적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단점은 가격이 비싸고 악천후로 성능이 떨어진다.

카메라, 카멜라, 사진기

©stokpic, 출처 Pixabay 카메라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카메라로 화상을 촬영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이 물체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요즘은 휴대전화로 물체를 촬영해도 비슷한 물체를 빅데이터가 찾아주듯 더 정확한 정보를 알기 위해 자율주행차에도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카메라는 가시광선에 의존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다양한 영역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라이더 vs 레이더 vs 카메라센서 영역

카메라센서 vs 레이더센서 vs 라이더센서


ADAS에 사용되는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센서는 각각 특징과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융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한눈에 보는 각종 용도

.
2020년 라이더 레이더 부품 시장의 크기가 2025년에는 최소 3배씩 커질 예정이다!


한 눈에 요약해 보는 레이더와 라이더의 장단점


이는 구글의 웨이모 자율주행 택시인데 카메라는 6대, 레이더는 3대로 나타났다.

구글 웨이모는 초정밀 지도 저장 후 라이더(LiDAR)로 GPS·지도를 대조해 주행한다.


테슬라는 카메라 영상을 통해 이미지를 판단하고 예측해 주행한다.
올해 1월까지 테슬라의 누적 주행 데이터는 51억 마일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다른 자율주행기술 개발업체들을 압도하는 수치다. 누적 데이터가 3000만 마일 정도로 알려진 구글의 웨이모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2019년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연 행사 당시 라이다는 바보들의 심부름꾼(LiDARis afoolserrand)이라며 라이더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테슬라는 레이더만 탑재한 자율주행기술 FSD(Full Self-Driving)를 개발해 출시했다.
반면 구글의 웨이모와 중국의 테슬라로 불리는 샤오펑(Xpeng) 등은 라이더가 자율주행에 필수 요소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명 자율주행차 업계의 거물들도 의견이 엇갈리는 라이더와 레이더다.
자율주행차 5단계 자율주행차 발전단계는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2단계까지는 운전자에게 차량 통제권이 있고 그 이후부터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