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깊이 921 천문학이란?

☯천문학이란? =깊이알고있는9 ▣천문학(Astronomy, Uranology) ◈11교재 ◆천문학이란 학문이 이것 때문에 교재는 별로 없다.•다만 그만큼 많은 학자가 공부했다는 것이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다. / Michael Zeilik, Stephen A. Gregory – Astronomy and Astrophysics(천문학 및 천체물리학)◆흰책이나 천서로 불린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교재다.두께도 두꺼워(650 페이지 정도) 내용도 많지만, 보기 쉽게 되어 있다.다만, 그 많은 내용을 650 페이지에 모두 포함시키면, 증명 과정이 매우 생략 되어 있다.우주 전반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깊어질 수 있다.한국과학영재학교의 천문학 심화 과목에 사용중이다.öHannu Karttunen, Pekka Kröger, Heikki Oja, Markku Poutanen, Karl J. Donner Fundamental Astronomy(기본천문학)◆푸른책과 기천이라 불린다.핀란드에서 저술된 탓인지 영어 표현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5판은 표지가 파랑이지만, 2016년에 나온 6판의 표지는 밤하늘을 배경으로 한 전파 천문대다.’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비해 증명 과정이 들어 있지만 그래도 조금 나은 편 정도밖에 없다.흰 책에 비해 관측이나 구면 천문 등 기술적인 내용이 많다.öBradly W. Carroll, Dale A. Ostlie –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현대 천체물리학) ◆빨간책이나 Big Orange Book (BOB)이라 불린다. 총 3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 1권은 관측 천문학, 태양계, 천문학의 역사와 천체역학에 대한 내용이다. · 2권은 항성 천문학, 3권은 은하 천문학에 대한 내용이다. · 천문학 개론 교재 중 가장 방대, 매우 다양한 내용이 상세하게 쓰여져 있지만, 총과 수학 및 물리학 수준이 ‘천문학이나 천체 물리학’이나 ‘기본 천문학 개론 교재 중 가장 크고 매우 다양한 내용이 상세하게 쓰여져 있지만, 매우 다양한 천체 과학이다.│ Eric Chaisson, Steve McMillan-Astronomy Today (천문학 : 한눈에 보는 우주) ◆ 교양에 많이 쓰이는 교재.지구과학 1, 2 천문학 부분의 내용이 한 권에 모두 들어 있다고 보면 된다. -위 세 권의 책보다 수직적인 내용이 적다. -일반인용 교양도서와 전공자용 개론 수업 교재의 중간 정도의 난이도로 보면 쉽다.◈ 12같이 게임하기 = 관련되고 정리 천문학 관련 정보 기준 우주론, ∙천체물리학, ∙일반상대성이론, ∙다중우주, ∙빅뱅우주론, ∙우주배경, ∙캐서, ∙ 빨간색, 쿼쿼쿼드러서 쿼쿼드에너지 쿼쿼드러 쿼드별, 쿼드태양, 쿼드러의 검정점, 쿼드, 쿼드(KAO), 톳 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 톳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APAO), 톳 국제천문, 천체물리올림피아드(IOAA), 톳 국제천문 및 천체물리 e-경기대회(GeCAA)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ESO), ↔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KESO) ↔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IESO) ↔ 백문학올림피아드(IESO) ↔ 목위키 : 프로젝트 [IESO) ↔ 목위키 : 프로젝트 / ↔

error: Content is protected !!